한의협, 의대 정원 확대 논의 한의사 포함 요구
필수의료인력 부족 해결책 ‘한의사 활용’ 제안

정부와 의료계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논의가 본격화된 가운데 한의계가 한의대 정원을 줄여 의대 정원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주장을 다시 들고 나와 주목된다(ⓒ청년의사).
정부와 의료계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논의가 본격화된 가운데 한의계가 한의대 정원을 줄여 의대 정원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주장을 다시 들고 나와 주목된다(ⓒ청년의사).

정부와 의료계가 의과대학 정원 확대 논의를 시작하자 한의계가 다시 한번 한의대 정원을 줄여 의대 정원을 늘리자고 제안했다. 더불어 필수의료인력 부족 문제 해결책으로 의료인인 한의사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12일 보도자료를 통해 “필수의료인력 부족사태 원인은 12만명에 달하는 의사 중 약 3만명이 피부·미용 등 돈벌이가 잘 되는 분야에 종사하고 있음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며 “그러면서도 필수의료분야 의사들을 위해 지원을 더 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의협은 “충분한 교육을 받고 의료인 면허를 부여받았음에도 각종 법적·제도적 제한으로 필수의료와 일차의료 분야에서 배제되고 있는 한의사들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면서 “한의사들의 참여를 끝내 수용할 수 없다면 한의대 정원을 줄여 의대 정원 확대에 활용하자는 고육책까지 이미 제안한 바 있다”고 말했다.

한의협은 “국가적 인구감소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에서 의대 정원을 더 늘리는 것은 부담스러운 선택”이라며 “국가 경쟁력을 위해 이공계 분야 인력 확충이 더 시급하다. 의대 정원을 어쩔 수 없이 늘려야 한다면 그만큼 한의대 정원을 줄여 전체 대학 정원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의협은 의대 정원 확대 논의가 전반적인 의료 인력 수급상황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토대로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의협은 “우리나라 한의사 3만명은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기준 의사 숫자 통계에도 포함되는 수치”라며 “많은 우수한 인력이 한의대를 진학하고 졸업 후 한의사가 되고 있다. 보건당국은 의사 퍼주기만 고려할 게 아니라 의료 인력 수급상황을 검토해 현명한 정책 방향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의협은 “대한의사협회는 현재 필수의료인력 부족 사태의 원인을 직시하고 무작정 양의사들에게 퍼주기를 더해달라는 터무니없는 주장을 당장 철회하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한의협은 의협 한방대책특별위원회를 향해 한의계에 대한 악의적인 비난과 폄훼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한의협은 “‘양방’, ‘양의사’ 표현은 ‘양복’, ‘양궁’ 등과 같이 국어사전에 명기돼 있으며 법원 판결문에도 사용되는 용어"라며 “한특위는 유치한 명칭논란과 한의약에 대한 악의적 폄훼를 즉각 중단하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