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대 정원 감축·첩약 급여화도 포함
“회원 총의로 정책 방향 정한다”
대한한의사협회가 한의사 전문의 제도 개편을 비롯 한의대 정원 감축,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 등 굵직한 정책 현안을 놓고 전 회원투표를 추진한다. 특히 25년 만의 한의사 제도 개선을 통해 한의사 역할을 현 의료 환경에 맞게 재정립하겠다는 구상이다.
한의협은 최근 ‘한의신문’을 통해 “11월 중 첩약보험 시범사업, 한의대 정원 감축, (한의사) 전문의 제도 개선에 관한 전 회원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달 중 전 회원투표 공고가 발표되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일정을 확정하고, 공고 후 2주 이내에 투표가 실시된다.
한의협 김지호 부회장은 지난 3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회원들의 의견을 공식적으로 확인해 정책 추진 근거로 삼기 위해 전 회원투표를 실시하기로 했다”며 “이번 투표가 회원 전체의 뜻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한의계는 이번 투표를 계기로 전문의 제도 개편을 포함한 한의사 전문영역 확대에 본격 착수한다.
김 부회장은 “한의사 전문의 제도는 지난 1999년 도입된 이후 한 번도 개편된 적 없다”며 “시대 변화와 의료 환경에 맞게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일차의료나 영상진단, 예방의학 등 다양한 분야 전문성이 요구되는 만큼 변화에 맞춰 전문의 체계를 개선해야 한다”고 했다.
한의협은 전 회원투표 결과를 토대로 한의사 전문의 제도 개편안을 마련해 이후 복지부와 협의를 거칠 계획이다. 무엇보다 “회원들의 뜻을 모으는 게 가장 중요한 절차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의대 정원 감축에 대해서도 “정원 감축에 대해 많은 회원들이 공감하지만 이를 증명할 근거 자료가 부족하다”면서 “이번 투표가 한의대 정원 감축에 대한 회원 전체의 뜻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더불어 첩약 급여화 시범사업을 투표에 붙여 시범사업 추진 과정에 대한 회원 의견을 다시 확인할 방침이다.
김 부회장은 “2차 첩약 급여화 사업을 앞두고 (한의계 내부) 찬반 의견이 팽팽했다”며 “윤성찬 회장 임기 당시 회원들에게 1년 뒤 (첩약 관련) 의견을 다시 묻겠다고 약속한 만큼 이번 투표는 그 공약을 이행하는 과정”이라고 했다.
김 부회장은 “회원들의 판단이 향후 정책 추진의 근거가 될 것”이라며 “전 회원투표는 11월 말에서 12월 초 사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