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발표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만성질환 치료율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질병관리청이 실시한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만성질환 치료율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우리나라 국민들의 만성질환 유병률이 증가했지만 치료율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우리 국민의 주요 만성질환 유병 및 건강행태에 관한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주요 결과를 30일 공개했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건강증진법에 근거해 국민의 건강과 영양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며 조사 결과는 국가 건강정책 수립 및 평가를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2024년 조사는 전국 192개 지역 내 25가구씩 총 4,800가구, 1세 이상 가구원 약 1만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초고령사회 대비를 위해 골다공증, 근감소증, 노인생활기능 등 노인건강 관련 조사도 진행됐다.

(자료출처: 질병관리청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주요 결과) 
(자료출처: 질병관리청 '202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주요 결과)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19세 이상 만성질환과 관련해 남성 비만 유병률은 48.8%로 지난 2023년 대비 3.2%p 증가했고 30~50대 절반이 비만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자는 26.2%로 2023년 대비 감소했다.

고혈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남녀 모두 2023년 대비 증가했다. ▲고혈압 유병률은 남자 26.3%, 여자 17.7%로 2023년 대비 남자는 2.9%p, 여자는 1.2%p 높아졌다.

이 외 ▲당뇨병 유병률은 남자 13.3%, 여자 7.8%로 2023년 대비 남자는 1.3%p, 여자는 0.9%p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남녀 모두 23.4%로 2023년 대비 남자는 3.5%p, 여자는 2.0%p 증가했다. 특히 남자 40대는 비만 및 만성질환 유병률이 2023년 대비 모두 증가 경향이었다.

특히 지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만성질환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대비 남녀 모두 큰 폭으로 개선됐다. 또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율 64.8%, 당뇨병 조절률 40.5%를 제외한 모든 관리지표는 70% 초과한 높은 수준이었으며 30, 40대에서 큰 폭으로 개선 된 것으로 조사됐다.

40세 이상 만성폐쇄성폐질환 유병률은 2024년 남자 10.6%, 여자 3.6%로 지난 2019년 대비 남자는 5.7%p, 여자는 2.3%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는 코로나19 유행으로 해당 조사가 중단됐었다.

65세 이상 노인의 최근 10여 년간 만성질환 유병 수준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비만, 당뇨병, 고혈압 유병률은 남자에서 증가한 반면 여자에서 감소했고,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남녀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질환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은 남녀 모두에서 큰 폭으로 개선됐다.

이번 조사에서 진행한 노인건강 관련 추가조사 결과 골다공증 유병률은 남자 3.8%, 여자 31.6%, 근감소증 유병률은 남자 9.5%, 여자 9.3%로 나타났다.

또한 골다공증과 근감소증 유병자인 경우 비 유병자에 비해 노인생활기능척도 점수도 낮았고 ‘몸을 구부리거나, 쭈그리고 앉거나, 무릎을 꿇는 동작’과 ‘쉬지 않고 건물 한 층을 걸어 올라가는 동작’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최근 10년간 비만,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증가했으나 인지율, 치료율 등 관리지표와 흡연율은 개선되고 있어 이는 만성질환 증가 우려 속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라고 말했다.

이어 “65세 이상 노인 심층분석 결과 남자는 고혈압 등 만성질환 유병이 높은 수준임에도 흡연, 음주 등 건강행태가 개선되고 있지 않고 여자는 10명 중 3명이 골다공증으로 나타나 노년기의 삶의 질 향상과 만성질환의 중증화 예방을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한편 질병청은 초고령화 시대 대비를 위한 노인건강 관련 조사를 지속하고 장기적인 건강 변화와 질병 발생의 인과관계 파악을 위한 추적조사, 조사 결과의 연계·활용 등을 통해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의 근거 생산을 강화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