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협 “법제화, 간호사 업무 부담 줄이고 환자 안전 강화”
대한간호사협회가 24일 간호사들이 병원을 떠나는 탈임상 현상을 막기 위해 간호사 대 환자 수 법제화를 시급히 도입하라고 촉구했다.
간협은 경력 간호사 약 60%가 병원을 떠나는 탈임상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간협은 국민건강보험통계 분석 결과, 지난 2023년부터 2025년까지 전국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수가 25만4,566명에서 28만3,603명으로 2만9,037명이 증가했지만, 해당 기간 신규 간호사 면허 취득자는 7만686명으로, 이 중 41%만 병원에 근무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60%의 경력 간호사가 병원을 떠났으며, 경력 단절 간호사 수도 20만명을 넘어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간협에 따르면, 전공의 이탈 여파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 수 증가율은 지난 2024년 5.19%(3,604명)에서 2025년 1.92%(1,405명)로 감소했다. 채용 증가폭도 전년 대비 61% 줄었다.
상급종합병원과 달리 종합병원과 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간호사 채용이 증가했다. 종합병원 간호사 수는 2025년 7.57%(7,156명) 늘어나 전년도 증가율인 4.1%(3,984명)의 1.7배를 기록했다. 병원급 의료기관도 지난 2024년 8.52%(3,251명)에서 2025년 9.3%(3,853명)로 증가했다.
이에 대해 간협은 “대학병원보다 부족한 인력, 열악한 시설, 낮은 임금 등은 중소병원 간호사들이 겪는 고질적인 문제”라며 “이런 열악한 환경은 간호사들의 업무 부담을 가중시키고, 소진을 유발해 결국 이직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이어 “잦은 이탈은 숙련된 의료 인력의 공백을 만든다”며 “이는 곧 환자들에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 질 저하로 직결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간협은 “간호사의 과도한 업무 부담을 줄이고 환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 간호사 대 환자 수 법제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