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강국 도약 전환점…제약바이오 경쟁력 강화해야"

제약바이오업계도 이재명 제21대 대통령 취임을 축하하고 지지를 보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경.(사진제공: 제약바이오협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전경.(사진제공: 제약바이오협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4일 논평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을 진심으로 축하한다"며 "국민 모두의 대통령으로서 사회통합과 경제 성장, 대한국민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위해 헌신해 주실 것으로 기대하며 큰 지지를 보낸다"고 밝혔다.

협회는 우리나라가 제약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협회는 "대한민국은 지금 제약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전환점을 맞고 있다. 제약바이오산업계는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지금까지 39개의 신약을 개발했으며, 세계에서 3번째로 많은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9조원에 육박하는 기술수출 실적을 기록했고, 의약품 수출 역시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제약바이오산업은 우수한 인재와 신약 기술, 연구개발 역량, 세계적 수준의 제조 인프라, 인공지능(AI) 융복합 기술 등 혁신적 잠재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제약바이오강국 실현은 산업계의 부단한 도전과 혁신, 그리고 정부의 과감한 지원 등 민관의 역량이 모두 결집돼야만 가능하다"며 "그런 점에서 정부의 제약바이오 R&D 정책 기조는 실질적 성과 도출을 중심으로 재편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협회는 정부의 제약바이오 분야 연구개발 예산 중 기업 등 산업 현장에 대한 지원 비중은 13.5%(2023년)로, IT(44.5%) 등에 비해 턱없이 낮은 상황을 지적했다. 때문에 "상업화에 근접한 후기 임상과 기업들에 대한 R&D 지원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산업계는 정부의 과감한 육성지원을 디딤돌 삼아 혁신과 도전을 가속화하고, 성과를 내겠다"고 다짐했다.

약가제도 개선의 필요성도 역설했다.

협회는 "약가제도 역시 산업계의 R&D를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재정립해야 한다"며 "신약이 개발되기까지 막대한 시간과 자원이 투입되지만 성공 가능성은 낮다. 혁신의 결실에는 정당한 가치가 부여돼야 하며, 예측 가능하고 통합적인 사후관리를 통해 수익이 다시 연구개발로 선순환하는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전했다.

협회는 "제약바이오산업계는 연구개발 생태계 조성과 디지털 혁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원료의약품 제조 역량과 품질관리 고도화를 통해 국민건강을 지키는 든든한 방파제가 되겠다"며 "의약품 개발과 생산 역량이 경제 발전과 국가 안보의 핵심 자산으로 인식되는 오늘날, 경제와 국민 건강을 동시에 책임질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 강화"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