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증진개발원 ‘의료취약지 원격협진 지원사업’ 행태조사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진행 중인 '의료취약지 원격협진 지원사업' 결과 원격협진 시 회당 진료비 약 2만7,000원이 절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 진행 중인 '의료취약지 원격협진 지원사업' 결과 원격협진 시 회당 진료비 약 2만7,000원이 절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의료취약지에서 진행하는 원격협진을 통해 회당 약 2만7,000원이 절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은 지난해 진행된 ‘의료취약지 원격협진 지원사업’ 서비스 만족도 및 인식조사 결과를 최근 공개했다. 지원사업은 의료취약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의사-의료인 간 원격협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현재 67개 시군구 보건소와 823개 기관이 참여 중이다.

2024년 만족도 조사는 원격협진 이용자 196명과 제공자 200명 등 총 396명을 대상으로 전화 및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 서비스 이용자의 90.3%는 70대 이상 고령층이고 77.6%가 초졸 이하로 건강정보 문해력이 낮으며, 69.4%는 두가지 이상 만성질환을 가진 복합질환자로 확인됐다.

응답 내용을 살펴보면 이용자는 전반적으로 서비스에 만족하고 있으며 특히 의료기관 방문에 따른 시간·비용 부담이 줄어든 점에서 높은 효과를 체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는 85.2점, 향후 이용 의향은 87.0점으로 전년 대비 모두 상승했다. 또한 응답자의 93.9%는 지역 내 원격협진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81.6%는 타인에게 해당 서비스를 추천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서비스를 통해 의료기관 방문에 따른 시간과 비용 부담이 완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자의 90.8%는 원격협진이 병원 방문 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됐다고 답했으며, 1회 이용 시 평균 2시간 21분 절약된다고 했다. 이 외 의료비는 회당 2만6,789원 절감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서비스 이용 후 건강 상태 인식과 전반적인 건강관리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는 전년보다 5.8점 상승한 49.6점, 건강관리 도움 정도는 3.3점 높아진 82.8점으로 조사됐다.

서비스 제공자 조사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확인되었다. 제공자 다수는 원격협진이 건강관리 및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으며, 이용자의 질병 증상 완화와 치료순응도 역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헌주 개발원장은 “원격협진 지원사업은 의료취약지 주민의 지속적인 질환 관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고령층, 건강 문해력이 낮은 주민이 많은 지역 특성을 고려할 때 거주지 인근 보건의료기관과 연계한 전문적인 협진 체계가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만성질환을 복합적으로 가진 대상자가 많다는 점에서 원격협진은 지속적인 건강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수단이며 2025년에도 참여기관 지원과 기술지원을 통해 지역 간 건강 격차 완화에 힘쓸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