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연구팀, 유방절제술 환자 4189명 분석 결과 발표
유방 절제술 후 남은 반대쪽 가슴의 이차암 진단 시 전문의보다 인공지능(AI)이 더 유용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주목된다.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장정민·하수민 교수팀은 유방절제술 환자 4189명의 유방촬영 영상을 바탕으로, 전문의와 AI 소프트웨어의 암 진단 성능을 비교한 연구 논문(Breast Cancer Detection with Standalone AI versus Radiologist Interpretation of Unilateral Surveillance Mammography after Mastectomy)을 지난달 국제학술지 ‘Radiology'에 게재했다.
유방암은 한쪽 가슴에 암이 생기면 치료를 받아도 반대쪽에서 이차암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 정기 검진이 중요하다. 하지만 유방절제술 환자는 일반인보다 검사 민감도가 낮아 더 정밀한 검진 도구가 필요했다.
이에 연구팀은 유방 절제술 후 남은 반대쪽 가슴의 무증상 기간 영상을 판독 보조 AI로 후향 분석했다. 이 AI는 일반인 유방암 검진에서는 성능을 입증했지만, 유방암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아직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다.
분석 결과, AI의 암 검출률은 1.74%로 전문의 1.46%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실제 암 발생률은 2.7%였다.
유방암 양성인 사람을 양성으로 진단하는 민감도에서 AI는 65.8%로 전문의 55.0%보다 높았다. 반면, 유방암 음성인 사람을 음성으로 진단하는 특이도는 AI가 91.5%로 전문의 98.1%보다 낮았다.
AI는 전문의가 놓친 암 50건 중 32%(16건)를 찾아내기도 했다. 연구진은 AI가 잡아낸 암이 주로 ▲1~2기 ▲침습성 ▲호르몬 수용체 양성 ▲림프절 무전이 등 초기 유방암 특성을 가지고 있어, AI가 유방암 조기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정민 교수는 “AI가 유방절제술 후 반대쪽 유방의 이차암을 효과적으로 발견할 수 있음을 보여준 세계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다만 “AI를 쓰더라도 치밀유방 같은 경우 영상검사에서 암을 놓칠 가능성이 있다”며 “정밀 검진에서는 AI 외에도 초음파나 MRI 검사를 활용하길 권한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