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가 고형암 대상 차세대 면역세포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면역세포 유전자 치료제는 혈액암에는 상용화됐지만 전체 암종의 90%를 차지하는 고형암에는 상용화 실적이 거의 없다.

국립암센터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전주기 기술개발 연구단을 이끄는 엄현석 교수.
국립암센터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전주기 기술개발 연구단을 이끄는 엄현석 교수.

이에 국립암센터는 혈액암센터 엄현석 교수를 단장으로 한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전주기 기술개발 연구단’을 출범했다고 17일 밝혔다. 오는 2029년까지 5년간 총 488억원이 투입되는 다부처 협업사업으로 보건복지부가 임상개발 부문을 전담하고 국립암센터가 연구를 수행·지원한다.

연구단은 고형암 대상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해 유전자 전달체인 바이러스 벡터와 면역세포(T세포)를 생산하고, 이 세포치료제를 암환자에게 처방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연구자 주도 임상연구 단계까지 진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와도 협력한다.

양한광 원장은 “고형암은 혈액암에 비해 치료가 까다로운 분야로, 이번 사업은 국내 기술력으로 고형암의 난제를 극복하여 환자에게 희망을 줄 기회”라며 “본 사업 출범을 통해 고형암 면역세포 치료제 분야에서 세계적인 성과를 창출하여 국내 바이오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만드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