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학醫, "불통 정부, 응급의료 위기 사과해야"
"이제라도 의료계와 상의해 응급의료 대책 수립을"
설 연휴를 앞둔 응급의료 현장이 정부 불통과 대책 부재를 지적하며 보건복지부 장차관 사퇴를 요구했다.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지난 24일 '설 연휴 응급의료 위기 상황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고 "정부는 응급의료 위기를 인정하고 제대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것에 책임지라"고 했다.
지난 1년간 정부가 내놓은 관련 대책은 "본인 머릿속에서 만들어낸 정책"으로 정부가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우리와 대책을 상의하지 않았다"고 했다. 지난해 추석 연휴 응급의료 위기가 대두되자 국회에서 현장 전문가와 상의해 대책을 내놓을 것을 주문했으나 "그 후 이번 설까지 단 한 번도 정부는 우리와 상의하거나 연락하지 않았다"고 했다.
인플루엔자 유행 등으로 감염병·발열 증세를 보이는 응급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정부 대책은 "이전에 이미 시행해서 특별히 효과를 보지 못한 정책의 재탕"에 불과하다고 했다.
이제는 정부가 응급의료 위기를 인정하고 사과해야 한다고 했다.
응급의학의사회는 "설 연휴 응급의료체계가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을 국민 앞에 인정하고 사과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해결할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의료계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료계는 국가 필수요소인 보건의료를 담당하는 정책 동반자다. 반국가세력이 아니다. 다가올 명절은 물론 향후 의료 시스템 혼란과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정부는 전향적인 자세로 사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고정민 기자
jmk02@docdocdoc.co.kr
관련기사
- 응급실 의사들 "언제까지 비상진료? 이대로는 축소·소멸의 길"
- 응급의학의사회 “비상계엄처럼 추진된 의대 증원, 철회하라”
- "최종치료 불가한데 '응급실 뺑뺑이' 치부…바보 같은 정부" 직격
- 응급환자 수용해도 처벌, 미수용도 처벌…"어쩌란 거냐" 응급실 탄식
- 정부 "관리 가능"하다는데 병원 못 찾는 응급환자들…"책임 회피만"
- 응급실 의사들 입모아 “심각한 위기…추석, 환자 못 받을 수도"
- 응급실 의사의 경고 “전공의 없는 추석, 교수들도 두렵다”
- 황금연휴에도 문 여는 대학병원들…추석 당일만 쉬는 곳도
- 올 추석 연휴에도 ‘진찰료·조제료’ 추가 가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