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애 의원 “민주당 의지 있다면 당장 시작 가능”
野 일방적 복지위 운영 비판…“힘 자랑 할 때 아냐”
여당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 속 의료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여야의정협의체’를 재가동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야당이 빠진 채 출범한 ‘여의정협의체’는 지난 1일 네 차례 회의를 끝으로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채 활동을 중단했다.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의료 공백 사태 해결을 위해 여야의정협의체를 재가동해야 한다고 했다. 이번에는 야당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여당 간사다.
김 의원은 “의료 공백이 여전하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가 흔들림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코로나19 등 겨울철 많이 발생하는 호흡기 질환 대응, 설 명절 비상 응급 대응 체계를 다시 점검하고 철저한 대비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민주당에 요청한다. 여야의정협의체를 재가동해야 한다. 아울러 출발도 못한 연금 개혁 논의도 신속히 국회 차원 특위를 만들어 속도를 내야 한다”며 “민주당 의지만 있다면 오늘이라도 당장 시작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야당의 일방적인 국회 상임위원회 운영을 지적하며 여당과의 협치를 요구했다.
김 의원은 “보건복지위는 국민 삶과 가장 밀접한 법과 제도를 다루는 곳”이라며 “다수의 힘으로 밀어붙이는 일방적인 상임위 운영은 지양해야 한다. 지난주 야당 단독으로 상임위를 소집했다가 일방적으로 취소한 일이 있었다. 지금은 힘자랑 할 때가 아니다. 협치 정신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간”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 10일 민주당의 감액 예산 처리로 상임위에서 여야가 합의한 비상진료 의료인력 지원 673억원, 어르신 일자리 449억원, 경로당 냉난방비와 양곡비 지원 69억원, 난치성질환 치료 90억원, 장애돌봄서비스 234억원 등 증액권이 모두 무산됐다”며 이에 대한 진정성 있는 사과와 납득 가능한 입장 표명을 촉구했다.
이어 민주당을 향해 “권력 노름을 멈추고 국민 건강과 나라 미래를 위한 논의에 집중해 달라”고도 했다.
관련기사
- 국회, ‘의평원 무력화’ 규정 심사하나…국민 청원 5만명 돌파
- 환자단체 "여의정협의체 중단 '참담'…환자와 대화하자"
- 대통령실 “정원 2년 전 예고해야해서 26년도 정해졌다”…25년은?
- 政·與, 여의정 파행에도 “2026학년도부터 논의 가능…대화 기다려”
- 박단 "이제 정부·여당 책임…2025학년 의대 모집 정지해야"
- 의학회·KAMC “정부·여당, 사태 해결 의지 없어” 협의체 참여 중단
- 여의정 좌초 속 '강경파' 각축…의협 회장 선거 개막
- 의학회, 여의정협의체 나오나…“정부 변화 있어야” 최후통첩
- 세 번째 여의정협의체 ‘빈손’…의평원 자율성 보장 일부 합의
- 이번엔 민주당 토론회…의협 비대위, 강희경 교수 공개 저격
- 비대위가 답답한 회원이 던진 질문…"본인이 비대위원장이라면"
- ‘의대 정원' 마지노선 2주…국회는 의·정 설득할 수 있을까
- 2025학년도 의대 정원에 단호한 政 “미세조정도 N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