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 진입한 개량·복합신약 파이프라인만 6개

한미약품이 지난 15일 고혈압과 이상지질혈증, 당뇨, 근골격계 등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한 6개 품목의 개량·복합신약들이 1~3상 임상시험 개발 단계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 본사 전경 (사진 제공: 한미약품)
한미약품 본사 전경 (사진 제공: 한미약품)

한미약품은 국내 최초 저용량 고혈압 3제 복합제인 ‘HCP1803’을 개발 중이며, 이를 통해 고혈압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한층 다각화할 계획이다. HCP1803은 여러 병리학적 경로를 동시에 차단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현재 국내 3상 임상시험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으며, 임상 종료 예상 시점은 내년 하반기로 예상된다.

HCP1803 기반의 연구 결과는 지난 6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고혈압학회(ESH)에서 발표된 바 있다. 해당 연구는 저용량의 3가지 항고혈압 성분 병용요법이 고혈압 초기 치료 요법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는 차세대 치료 개념이 반영됐다.

한미약품은 최근 독자적 개량·복합신약 신제품을 계속 선보이고 있다. 지난해 9월 당뇨병 치료제 ‘실다파’에 이어 올해 2월 항혈전 치료제 ‘라스피린’을 출시했고, 이를 여러 용량과 다양한 조합의 ‘패밀리 제품군’으로 라인업을 확장하며 의료진과 환자들에게 다양한 치료 옵션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에 진출한 한미약품의 항암 분야 바이오신약 ‘롤베돈’은 작년 한해 동안 매출 5,560만 달러(약 750억원)를 기록했고, 올해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1,450만 달러(약 195억원), 1,510만 달러(약 205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한미약품은 롤베돈의 성공적 글로벌 판매를 위해 미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의 기회를 타진하고 있다.

한미약품이 반환받은 바이오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를 한국인 맞춤형 GLP-1 비만약으로 개발하기로 한 결정도 있다. 선두 주자인 에페글레나타이드에 이어 비만신약 ‘H.O.P 프로젝트’ 내 과제들의 임상 및 비임상 개발도 순항하고 있다.

한미약품 박재현 대표는 “의약품 제조 역량과 우수한 제제 기술력이 담긴 개량·복합신약들은 혁신신약 개발을 향해 굳건히 나아가는 핵심 자산이자 회사 성장을 견인하는 원동력”이라며 “앞으로도 한미만의 경쟁력 있는 고품질 의약품을 끊임없이 개발해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R&D 중심 제약기업으로 힘차게 전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