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협, 의대 증원 지지 밝혀…불법의료 근절 등 5대정책 요구도
단체행동 시 현장 간호사 모니터링 등 협의체 구성 추진
탁영란 회장 "의사들은 정부 아닌 국민 두려워해야"
간호사들이 의대 증원 정책에 찬성하며 이에 반발하는 의사들을 규탄했다. 단체행동으로 의사가 병원 현장을 떠날 경우 현장 간호사의 소진과 부당 대우 등을 방지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도 추진하겠다고 했다.
대한간호협회는 14일 국회 앞에서 ‘의료개혁 적극 지지 및 의료정상화 5대 요구사항 추진 촉구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탁영란 간협회장은 입장문을 통해 단체행동을 계획하고 있는 의사들을 향해 “의료인의 본분을 저버렸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탁 회장은 “대한민국 65만 간호인은 의대 정원 확대를 통한 정부의 의료개혁을 적극 지지한다”며 “의료인의 제1 책무는 환자의 건강과 생명 보호다. 그러나 82%의 의사들은 의료 개혁을 반대하고 있다. 국민의 편에서 의사 본분을 지키는 18%의 용감한 의사들을 지지한다. 이들이야말로 진정 국민을 살리는 의사”라고 말했다.
탁 회장은 “의사 단체들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을 저버렸던 2020년 의사 총파업과 같은 투쟁을 검토하다 이제는 처벌을 피하기 위해 재계약 거부 등 꼼수로 다시 국민을 저버리려 하고 있다”고 규탄했다.
이어 “자신의 이익을 위해 현장을 떠나는 소방관이나 경찰관을 상상할 수 있는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의료인은 어떤 순간에도 현장을 떠나선 안 된다”며 “의사들이 두려워할 것은 정부가 아니라 국민들이다. 대한민국 간호인들은 어떤 순간에도 국민 곁을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를 향해서는 의료계와 타협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탁 회장은 “행여나 이익단체들과 의료개혁을 퇴보하는 밀실 타협 등 시도는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 일말의 시도라도 있다면 정부는 전 국민의 저항과 지탄을 받게 될 것"이라며 "국민의 생명과 건강권은 절대 타협의 대상이 아니다”라고 피력했다.
의사 단체행동에 대비해 현장 간호사의 소진 등을 해결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겠다고도 했다.
탁 회장은 “의약분업과 2020년 의사 단체행동 등 의사들의 현장 이탈로 인해 환자에 대한 책임, 과중한 업무 등으로 간호사들에게 감당할 수 없는 일들이 자행된 바 있다”며 “의사들이 단체행동에 나설 경우 현장 간호사들이 겪을 수 있는 부당 대우, 소진 등을 모니터링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에 ▲불법의료 근절할 근본 대책 마련 ▲간호간병국가책임제 실시 ▲지방의료 불균형 문제 해결 ▲재택간호시스템 확대 ▲간호서비스 보장 위한 법 제정 추진을 요구했다.
탁 회장은 "정부는 초고령 사회와 지방 소멸이 동시에 진행돼 지역 의료가 붕괴되는 현실에서 국민을 위한 개혁에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 與, 불씨 살아있는 전공의 단체행동 주시…"대화로 풀자"
- 단체휴학 등 단체행동 논의한 의대협…결과는 15일 발표할 듯
- 단체행동 안 되면 '개별행동'…사직 시작하는 인턴들
- 공개적으로 사직 밝힌 홍재우 인턴 "불씨되길 바란다"
- 대전협 박단 회장 "전공의는 국가의 노예가 아니다"[전문]
- 전공의 투쟁 방향 촉각 세우는 수련병원들 “긴장감 늦추지 못해”
- 비대위 전환 대전협…의료계 '단일대오' or '개별투쟁'?
- 전공의들 바로 나서지는 않을 듯…대전협 단체행동 철야 논의
- 의협 “분노 불길에 기름 붓는 정부…전공의·의대생 끝까지 보호”
- 전공의 단체사직 대응안이 PA 간호사?…현장은 "차질 불가피"
- 간협, "의료 공백 시 대응…간호사 피해 최소화"
- 전공의 사직으로 환자 줄자 간호사에 "연차 써"
- "간호사에 불법진료 지시…법적 보호 조치 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