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병원협회, 중간역할 위한 의료전달체계 개선 강조
복지부 “의료계뿐만 아니라 국민 등 각계 의견 수렴할 것”
정부를 만난 중소병원들도 인력 충원 어려움을 호소했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 정책으로 확충된 인력들이 필수·지역의료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촉구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23일 정부의 필수의료 확충방안 등에 대해 대한중소병원협회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한 간담회에서 중소병원들은 현장의 어려움을 쏟아냈다.
중소병원협회 이성규 회장(동군산병원)은 “재난 시 소아가 약한 존재인 것처럼 보건의료시스템에서는 중소병원이 소아와 같은 입장”이라며 “의사인력 문제도 있지만 제대로 된 보상이 없어 의사들이 병원에서 근무하려 하지 않는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박인호 부회장(목포한국병원)은 “(의대 정원 확대로) 확충된 의료 인력들이 지방의료, 필수의료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지부에서 대안도 함께 잘 마련해줬으면 한다”고 했다.
박진식 이사장(세종병원)은 지역 내 의료생태계에서 중소병원이 중간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의료전달체계 개선 필요성을 언급했다.
박 이사장은 “현재 의료전달체계에서 지역 내 의료기관 간 협력할 네트워크를 만들 동기가 적다”며 “중등도에 따라 의뢰체계 수가를 차등 반영하는 전달체계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복지부는 필수의료 위기 극복을 위해 의료계뿐만 아니라 국민을 대표할 수 있는 각계 의견도 수렴해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박민수 제2차관은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건강에 직결된 필수의료 위기 극복을 위한 종합적 정책패키지 수립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현재 추진 중인 필수·지역의료 혁신방안이 국민과 환자 시각에 차질 없이 이행되도록 각계 기탄없는 의견을 듣고 반영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박민수 차관 “전문병원, 제도‧재정지원 방안 검토”
- 조규홍 장관 "의사 자부심 느낄 수 있도록 정책 패키지 마련"
- 인력난에 법정 다툼까지…시름하는 지방 중소병원들
- 복지부, 필수의료 혁신위해 ‘병원계’ 의견 수렴 시작
- “중소병원 야간근무간호사 배치 의무화? 채용 불가능”
- 의료질평가 ‘지역 의료전달체계 기여’ 중심으로 개편
- 政, ‘형사처벌 특례 법제화’로 의료인 사법 리스크 완화 추진
- 중병협 이성규 회장, 차기 병협 회장 출사표…‘소통 리더십’ 강조
- "의료기관 평가 공개? 의료기관 서열화로 이어져"
- [신년특집] 의사도, 환자도 '외면'하는 중소병원, 왜?
- [신년특집] 의대 증원해도 중소병원 인력난 해결 못하는 이유
- 병협 새 수장에 이성규 중소병원협회장 당선
- 중소병원 소통 강조한 김진호 회장…미래 준비도 박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