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매출 8662억원 및 영업이익 2534억원 기록
에피스, 기존 제품 판매량 증가 및 신규 제품 출시

삼성바이오로직스 제2바이오캠퍼스 조감도.
삼성바이오로직스 제2바이오캠퍼스 조감도.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 림)가 CMO(위탁생산)와 바이오시밀러 사업의 성장을 바탕으로 창립 이래 최초로 상반기 매출 1조 5,800억원을 돌파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3년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 1조 5,871억원, 영업이익 4,452억원을 기록했다고 지난 26일 공시했다. 성공적인 수주 및 생산효율 극대화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4,244억원(36%), 영업이익 991억원(29%)이 각각 증가하며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연결기준 2분기 매출은 8,662억원, 영업이익은 2,534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대비 2,148억원(33%), 837억원(49%) 증가했다. 3공장이 본격 가동된 2020년 이후 연결기준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의 연평균 증가율(CAGR)은 각각 41%, 46%에 달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상반기 별도 기준 매출은 1조 2,282억원, 영업이익은 4,885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1,335억원) 늘어난 6,372억원, 영업이익은 48%(822억원) 늘어난 2,541억원을 기록했다. 장기 대규모 물량의 수주 및 1~3공장 풀(Full) 가동을 통한 효율 극대화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하며, 2분기 영업이익률은 39.9%를 기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상반기 매출은 4,693억원, 영업이익은 780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231억원) 증가한 2,559억원, 영업이익은 연구개발 비용 증가 등으로 28%(166억원) 감소한 419억원을 기록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분기에 이어 로슈, 화이자, 노바티스 등 빅파마와 대규모 위탁 생산 계약을 체결하며 연간 수주액 2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수주 실적을 초과한 금액이다. 또한 글로벌 톱 20개 제약사 중 총 13곳을 고객사로 확보했다. CDMO 업계 특성상 대부분의 위탁생산 계약은 6~7년 정도의 장기계약으로, 안정적인 매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4월 5공장 착공에 돌입한 데 이어 지난 6월 4공장 전체 가동에 돌입했다. 현재까지 10개 고객사와 16개 제품에 대한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으며, 추가로 30개 고객사와 46개 제품 생산 계약을 협의 중이다. 4공장 매출은 3분기부터 본격적으로 실적에 반영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총 7종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글로벌 시장에서 허가 받았으며, 후속 파이프라인의 개발도 진행 중이다. 이달 초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하드리마(성분명 아달리무맙, 개발명 SB5)’를 미국 시장에 출시했다. 또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SB15),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SB16),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SB17) 임상시험을 모두 완료하고 글로벌 허가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