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만에 40대→50대로 주축 바뀌어
신현영 의원 “필수과 지원 동기 사라져”
주요 필수과목 전문의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다. 젊은 의사 유입이 줄면서 최근 10년간 40대 이하 연령대 전문의가 감소했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26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4개 필수과목 활동 전문의의 최근 10년간 연령대별 증감 현황을 살펴본 결과, 70대 이상은 늘고 40대 이하는 줄었다고 밝혔다.
신 의원에 따르면 70대 이상 전문의는 지난 2013년 686명에서 2022년 1,621명으로 136.3%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60대는 86.5%, 50대는 35.6% 순으로 상승했다.
반면 30대 이하는 지난 2013년 3,988명에서 2022년 3,024명으로 24.2% 감소했다. 40대도 6.0% 줄었다.
연령대 구성 비율로 살펴보면 2013년에는 40대가 35.0%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50대 26.1%, 30대 이하 23.4% 순이었으나, 2022년에는 50대가 30.3%로 가장 많고, 40대 28.1%, 60대 18.3% 순으로 연령비중이 높아졌다.
과목별로 살펴보면 외과는 70대 이상이 2013년 326명에서 2022년 625명으로 91.7% 증가했으며, 60대와 50대도 각각 77.8%, 34.7% 늘었다. 반면 30대 이하는 같은 기간 1,295명에서 898명으로 29.1% 감소했다.
지난 2013년에는 외과 전문의 중 40대가 33.4%로 가장 많았고, 50대 25.5%, 30대 이하 23.3% 순이었다면, 2022년에는 40대가 29.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50대 29.1%, 60대 18.0%였다.
흉부외과는 70대 이상이 2013년 8명에서 2022년 54명으로 575%나 늘었다. 60대와 50대도 증가율이 각각 238.7%, 28.3% 순이었다. 30대 이하는 같은 기간 219명에서 148명으로 31.5%나 하락했다. 구성비율을 보면 지난 2013년 40대가 39.0%, 50대 31.1%, 30대 이하 21.7% 순으로 많았던 반면 2022년에는 50대 34.9%, 40대 25.4%, 60대 22.0% 순이었다.
산부인과도 70대 이상이 2013년 219명에서 2022년 568명으로 167.6% 늘었다. 60대와 50대 증가율도 각각 66.2%, 50대 45.7%였다. 30대 이하는 같은 기간 1,072명에서 727명으로 32.3% 감소했으며, 40대도 2,006명에서 1,467명으로 26.9% 줄었다. 구성비율은 2013년 40대 37.0%, 50대 26.1%, 30대 이하 19.8%였지만 2022년에는 50대34.3%, 40대 24.4%, 60대 19.7% 순으로 50~60대가 절반에 달했다.
소아청소년과도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었다. 70대 이상이 2013년 133명에서 2022년 374명으로 181.2% 증가했으며, 60대와 50대 증가율은 각각 103.9%, 27.3%였다. 30대 이하는 같은 기간 1,400명에서 1,228명으로 12.3% 감소했다. 구성비율은 살펴보면 2013년 40대 33.8%, 30대 이하 27.7%, 50대 25.8% 순이었으나, 2022년에는 40대 30.9%, 50대 26.7%, 30대 이하 19.7% 순으로 많았다.
신 의원은 대한민국 필수의료 전문의 수급체계에 적신호가 켜졌다고 경고했다.
신 의원은 “4개 진료과목만 조사한 것임에도 전문의 활동 나이가 극단적으로 가고 있다는 것 자체가 필수의료 붕괴를 이야기하는 마지막 경고가 아닌가 싶다”며 “활동의사 수 통계를 냈지만 활동 의사가 본연의 전문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현실은 더 심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 의원은 “(젊은 의사들의) 필수과 지원동기가 사라지고 있다. 이제는 착한 의사에게 기대 필수의료를 지키는 게 아닌 국가가 안정적으로 갖춰 놓은 시스템을 필수의료와 대한민국의 의료체계를 지켜 나아가야 한다”며 “건강과 생명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대에 국가가 존재하는 이유”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