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올해 말 전문위 상정 준비 중…전문위 검토에만 최소 6개월
최근 질병관리청이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에 대한 긍정적 입장과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지만, 실제 도입은 내년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첫 단계인 전문위원회 검토에만 최소 6개월이 걸리는데, 질병청은 올 연말 전문위 안건 상정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병청 감염병관리과 양진선 과장은 지난 20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 추진 상황에 대해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이달 8일 발표한 ‘제3차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기본계획(2023~2027)’에 바이러스간염 예방 및 관리를 위해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을 추진하고 간염 검진 사후관리 및 치료 연계를 실시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질병청은 이를 통해 현재 인구 10만명당 2.5명인 C형 간염 사망률을 오는 2027년까지 1.5명으로 줄인다는 목표다.
또한 질병청은 C형 간염 항바이러스 치료의 장기적 효과와 선별검사 도입 비용효과성에 대한 연구결과도 발표했는데, 연구결과 C형 간염 선별검사를 실시할 경우 실시하지 않았을 때보다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국가검진항목에 C형 간염 항체검사를 40~65세 인구 대상 1회 선별검사를 실시할 경우 선별검사를 실시하지 않았을 때 보다 약 375만원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질병청에서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에 대한 긍정적 메시지를 잇따라 내놓자 학계와 임상 현장에서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질병청이 지속적으로 긍정적 신호를 주는 것과 별개로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적용은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인다.
질병청 감염병관리과 양진선 과장은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포함에 대해 아직 상세하게 공개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며 “국가건강검진 포함을 위해서는 전문위원회, 국가건강검진위원회,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등 거쳐야 할 단계가 많다”고 말했다.
양 과장은 “질병청은 지금까지 (C형 간염 국가건강검진 도입을 위해 진행한) 시범사업, 연구용역 자료를 모아 올 하반기 전문위에 관련 안건 상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문위에서는 의학적 근거 등을 꼼꼼하게 검토하기 때문에 최소 6개월 이상 시간이 소요된다”며 “질병청이 관련 근거를 제시해도 전문가들은 ‘사실관계에 기반해 분석한 근거인지’ 여부를 살피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덧붙였다.
양 과장은 “전문위 검토가 끝나고 통과돼야 국가건강검진위원회에 안건으로 올릴 수 있고 이를 통과해야 건정심 안건이 된다”며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언제 결정된다고 확답할 수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