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종괴성 조영 증강 유두 침범 소실 여부…유두 절제 유무 '지표'
유방암 수술 전 항암, 비종괴성 조영 증강 유두 침범 70% 감소
강남세브란스병원 연구팀 "복합체 보존 전절제술 가능성 보여"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정준·안성귀·배숭준 교수 연구팀(왼쪽부터)은 선행항암화학요법 후 흩뿌려진 암 형태의 비종괴성 조영 증강의 소실 여부가 유방암 수술 시 유두절제 유무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사진제공: 강남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정준·안성귀·배숭준 교수 연구팀(왼쪽부터)은 선행항암화학요법 후 흩뿌려진 암 형태의 비종괴성 조영 증강의 소실 여부가 유방암 수술 시 유두절제 유무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사진제공: 강남세브란스병원).

국내 의료진이 유방암 수술 전 항암치료로 유두와 유륜을 최대한 보존하는 치료법의 효과를 입증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정준·안성귀·배숭준 교수 연구팀은 선행항암화학요법 후 흩뿌려진 암 형태의 비종괴성 조영 증강 소실 여부가 유방암 수술 시 유두절제 유무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14일 발표했다.

유방암 2기 이상일 경우 수술에 앞서 암 크기를 줄이는 항암화학요법을 진행하는데 이 과정에서 유두-유륜 복합체를 침범했던 비종괴성 조영 증강이 사라지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이 경우 유두-유륜 복합체 보존 유방 전절제술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지난 2007년 1월부터 2022년 3월까지 선행항암화학요법 후 유두-유륜 복합체를 함께 절제하는 유방 전절제술을 받은 유방암 환자 326명을 대상으로 선행항암화학요법 전후 유방 MRI에서 비종괴성 조영 증강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 여부를 평가했다.

선행항암화학요법 전후 유방 MRI에서 비종괴성 조영 증강 변화(자료제공: 강남세브란스병원).

그 결과 유방암 환자 326명 중 66.6%인 217명에서 선행항암화학요법 전 유방 MRI에서 비종괴성 조영 증강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 소견이 관찰됐고, 선행항암화학요법 후 환자 217명 중 70%인 153명의 유방 MRI에서 비종괴성 조영 증강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 소견이 소실됐다.

그 중 4명(2.6%)에서만 병리 검사 상 유방암 세포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이 관찰됐다.

특히 선행항암화학요법 이후 유방 MRI에서 비종괴성 조영 증강을 포함해 유방암이 모두 사라진 31명 중에서는 병리 검사 상 유방암 세포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이 관찰되지 않았다.

정 교수는 "선행항암요법으로 비종괴성 조영 증강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 소견이 사라졌을 때 병리 검사 상으로도 유방암 세포의 유두 침범 소견이 매우 드문 것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는 선행 항암으로 비종괴성 조영 증강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 소견이 사라진 환자에서 복합체를 보존하는 유방 전절제술을 잔여암 걱정 없이 시행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특히 영상검사에서 선행항암요법으로 유방암이 완전히 사라진 경우 병리 검사 상에서도 유방암 세포의 유두-유륜 복합체 침범소견이 있었다"며 "유두와 유륜을 보존하는 전절제술을 통해 수술 이후 환자 삶의 질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번 논문은 영상의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Radiology'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