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대상 ‘고정빔 치료실’ 운영…올해 말 ‘회전형 치료실’ 가동
윤동섭 의료원장 “암 정복 향한 멈추지 않는 도전해 나갈 것”
연세의료원이 ‘꿈의 암 치료기’로 불리는 중입자치료기를 중심으로 암 치료 패러다임 전환에 나섰다.
연세의료원은 12일 중입자치료센터 1층에서 개소식과 봉헌식을 열고 중입자치료센터 운영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지난 4월 28일 첫 환자 치료를 시작으로 10명의 전립선암 환자 치료를 마친 연세의료원은 올해 말까지 순차적으로 치료인원을 늘려 나가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전립선암 치료를 위해 대기 중인 환자는 50명이다.
중입자치료에 대한 암 환자들의 관심도 점점 커지고 있다. 전립선암 중입자치료 가능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진료 대기 중인 환자도 50여명에 달한다.
1호 해외 환자 치료도 마쳤다. 전립선암 1기인 50대 러시아 환자는 3주간 진행된 12회 치료를 마치고 러시아로 돌아가 모니터링을 이어나가고 있다.
현재 전립선암에 한해 고정빔 치료실을 가동 중인 연세의료원은 올해 말까지 폐암과 간암, 췌장암 등 다양한 암 종 치료가 가능한 갠트리 치료실 2곳을 개소해 암 환자 치료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현재 전립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루 12명 치료를 유지하고 있으며 점차 환자 수를 늘려나갈 예정이다. 전립선암은 3개월 간 12회 치료 진행 시 약 5,000만원의 비용이 든다.
중입자치료는 치료비용이 고가지만, 최적의 각도를 찾아 종양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정상적인 조직은 피하고 종양에만 탄소 이온을 가속화시킨 빔을 조사해 빠른 시간 내 정확하게 치료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세브란스병원 방사선종양학과 홍채선 교수는 “현재 고정빔 치료실에서 하루 12명 치료를 하고 있다. 지난 4월 전립선암 환자 2명의 치료를 시작해 일주일에 1명씩 늘려 현재 12명 치료를 하고 있다”며 “월요일을 제외한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4일 가동 한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지난 4월 28일 첫 치료를 시행했기 때문에 완치를 따지려면 1~3년을 봐야 한다. 이제 막 치료가 시작됐고 치료가 끝난 사람들이 막 생겨나고 있기 때문에 완치 여부를 판단하기는 아주 이른 시간”이라며 “하지만 치료 시간이 짧기 때문에 환자 만족도는 높을 거라고 보고 있다”고 했다.
윤동섭 연세대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은 중입자치료센터 개소를 시작으로 암 정복 도전에 나서겠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윤 의료원장은 “대한민국 새로운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국민들에게 지금까지 받아 온 신뢰와 성원에 보답하는 의료기관이 되기 위해 내딛는 한 걸음 마다 정성과 최선을 다하겠다”며 “암 정복을 향한 멈추지 않는 도전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연세의료원은 호국보훈의 달에 센터를 개소한 것을 기념해 국가보훈처, 경찰청, 소방청 등에 근무 중이거나 퇴임한 전립선암 환자를 초청, 치료를 진행 중이다.
각 기관에서 추천한 환자 중 적합한 환자를 선정해 중입자치료 비용은 물론 검사와 진료비용 모두를 지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