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중환자실 연구팀, 섬망 인식 조사
섬망 교육 경험 43%…섬망 인식 수준은 높아
"섬망 예방·치료 프로토콜 표준화와 교육 필요"

중환자실 의료진 중 40%만이 섬망에 대한 프로토콜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료 출처 : 게티이미지).
중환자실 의료진 중 40%만이 섬망에 대한 프로토콜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료 출처 : 게티이미지).

중환자실 의료진 중 40%만이 섬망 환자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숙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중환자실 의료진을 대상으로 한 섬망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실 연구팀은 최근 중환자실 의료진 197명을 대상으로 섬망과 관련된 경험과 인식 정도를 조사한 결과를 한국중환자간호학회 학술지인 중환자간호학회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 2년차 이상의 의사와 병원에 입사한 지 6개월을 초과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지난 2021년 6월 28일부터 7월 4일까지 수행됐다. 응답자 중 간호사는 91.4%(180명), 의사는 8.6%(17명)로 의료진의 임상 평균 경력은 70.22개월이었다.

연구 결과, 섬망 환자의 치료 프로토콜과 보고 체계를 알고 있는 의료진은 40.1%(79명)였다. 이에 섬망 환자를 경험한 196명(99.5%) 중 61.4%(121명)는 섬망 환자를 경험했을 때 어려움을 느꼈다고 답했다.

의료진 중 섬망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43.7%(86명)였다. 그중 58.1%(50명)는 입사 후 혹은 정규 교육 과정에서 섬망 교육을 받았다고 답했다. 섬망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다고 답한 의료진 중 85.5%(94명)은 동료나 선배에게서 구두 설명으로 섬망 지식을 습득했다고 했다.

의료진의 96.4%(190명)가 중환자실 섬망 사정 도구(CAM-ICU)를 알고 있었지만 CAM-ICU 측정 결과와 임상적 판단의 일치도가 59.4%라고 답했다.

섬망 예방 중재 경험이 있는 의료진은 86.8%(171명)로 시도했던 섬망 중재 방안으로는 ▲수면 환경 조성(87.1%) ▲지적·환경적 자극(73.7%) ▲예방적 약물 중재(62.6%) ▲재인지(61.4%) 등이 있었다.

또한 섬망 발생 이후 중재 경험이 있는 의료진은 96.4%(190명)으로 ▲신체 보호대 적용(85.3%) ▲수면 환경 조성(81.1%) ▲통증과 진정 수준 사정과 필요시 약물 중재(78.4%) ▲지적·환경적 자극(62.6%) 등을 시도했다.

의료진에게 섬망에 대한 인식을 물었을 때 100%가 섬망이 중환자실에서 흔히 나타나는 문제라고 답했으며, 응답자의 98.5%는 섬망에 대한 의료진의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고 했다. 81.7%는 섬망이 환자 사망률 증가와 연관 있다고 답했다.

의료진들이 섬망 사정에서 느끼는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는 ▲인공 기도를 유지하고 있는 환자의 결과 해석이 어렵다 ▲진정 상태에 있는 환자에 대한 결과 해석이 어렵다 ▲사정 도구를 사용하는 게 환자의 임상 결과를 향상시킨다는 느낌이 없다 등이 꼽혔다.

그 외에도 ▲섬망 사정 결과를 환자 치료에 활용하지 않음 ▲섬망 사정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됨 ▲적절하게 사정 결과를 기록하기 어렵다 ▲근무 중인 중환자실에서 섬망 사정 결과를 요구하지 않는다 등도 언급됐다.

연구팀은 “섬망 관련 교육을 받았다고 답변한 비율이 적었다. 섬망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해 의료진이 섬망의 예방과 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해야 한다”며 “섬망 환자의 치료와 간호에 교육 내용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의료진은 섬망 사정 도구와 임상적 판단의 일치도가 높지 않다고도 했다. 의료진 스스로 도구 사용에 대해 교육을 받았더라도 간호사 간 사정 결과가 불일치하다”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사정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지속적인 반복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진이 섬망을 중환자실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는 만큼 섬망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프로토콜을 표준화하고 이를 모든 의료진이 동일하게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교육도 필요해 보인다”고 했다.

Delirium-related Experience of the Medical Staffs : Contents
Delirium-related Experience of the Medical Staffs : Contents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