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삼성서울병원, 종양 내 조절 T세포 선택적 제거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해 면역항암제 효능을 높이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카이스트)은 의과학대학원 박수형·신의철 교수, 삼성서울병원 서성일·강민용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면역항암 전략을 제시했다고 6일 밝혔다.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해당 세포에만 높게 발현하는 ‘표적 단백질’을 발굴해야 한다. 공동연구진은 새로운 표적 단백질인 시캠1(CEACAM1)을 찾아냈다.
연구진은 신장암 환자로부터 얻은 조직과 혈액을 분석해서 CEACAM1이 혈액 내 존재하는 조절 T세포에는 발현되지 않고 종양 내 조절 T세포에서만 선택적으로 발현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단일세포 전사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은 양상은 신장암뿐 아니라 다양한 암종에서도 나타났다.
신장암 환자의 종양 내 면역세포에서 CEACAM1을 발현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제거했을 때 면역세포의 종양 제거 능력이 월등히 증가하는 현상도 확인했다. CEACAM1을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제거하면 대표적인 면역항암제는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의 면역항암 기능도 증가했다.
연구진은 “CEACAM1을 발현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가 항종양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주된 세포임을 밝혔다”며 “이 세포의 세부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선택적으로 제거하거나 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 전략이 매우 효과적인 항암치료와 면역치료제 개발에도 활용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의 공동 제1저자인 KAIST 전승혁 박사와 강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새로운 표적 단백질을 발굴함과 동시에 종양 내 조절 T세포의 생물학적 특징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라며 ”이번 연구의 결과가 궁극적으로 면역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극복하는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ˮ고 말했다.
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임상 샘플을 사용해 종양 내 조절 T세포 제거 치료의 단서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CEACAM1 발현이 종양의 성장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어 바이오마커로써 응용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박 교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제어하는 치료는 많은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분야이지만 아직 이를 이용한 치료법은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발굴한 CEACAM1이 종양 내 조절 T세포의 제거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ˮ이라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가 담긴 논문 ‘CEACAM1 marks highly suppressive intratumoral regulatory T cells for targeted depletion therapy’는 미국암학회(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에서 발행하는 종양 분야 학술지인 ‘Clinical Cancer Research’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