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의학전문위 3차 회의 열고 반대 입장 재확인

대한의사협회 정보의학전문위원회는 지난 25일 3차 회의를 열고 공적 전자처방전 문제를 비롯해 의료플랫폼, EMR인증 등 안건에 대해 논의했다(사진제공: 의협).
대한의사협회 정보의학전문위원회는 지난 25일 3차 회의를 열고 공적 전자처방전 문제를 비롯해 의료플랫폼, EMR인증 등 안건에 대해 논의했다(사진제공: 의협).

대한의사협회가 공적 전자처방전에 대해 “무분별한 대체조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며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의협 정보의학전문위원회(정의위)는 최근 3차 회의를 열고 이같은 입장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위원장은 경북의대 외과학교실 정호영 교수다.

현재 의협은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안전한 전자처방협의체’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대한약사회도 화상투약기가 정보통신기술 규제샌드박스 심의위원회에서 규제특례 과제로 승인된 이후 협의체 불참으로 입장을 바꿨다는 게 의협 측 설명이다.

의협 정의위는 “우리 입장은 단호하고 명확하다. 공적 전자처방전은 무분별한 대체조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이는 환자의 생명과 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만큼 강력한 반대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 분야 마이데이터인 ‘마이 헬스웨이(My Healthway)’ 도입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마이헬스웨이는 흩어져 있는 개인 건강정보를 한 곳에 모아서 원하는 대상에게 데이터를 제공하고 활용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의료데이터는 단순 의료정보의 범위를 벗어나 확장 가능성이 높다는 점 ▲데이터를 모아서 가치를 발휘할 수 있도록 실현시킬 구체적인 방법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의 직접적 취합과 관리는 리소스와 시간이 소요되는 부분 등에 대한 의견 교환이 이뤄졌다.

특히 개인 정보 이동권에 대해 구체적으로 명시해 무제한으로 확장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데 위원들이 공감대를 형성했다. 또 개인정보 수집·유출 영향 등을 고려해 대국민 홍보와 회원 대상 설문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 의협 주도 의료플랫폼에 대해서는 의사-환자 간 비대면 진료에 대한 협회의 방향 설정 후 플랫폼 구축과 운영비용 계획과 명확한 콘텐츠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의협 주최 EMR 인증사업에 대한 회원의 인식조사 등을 거쳐 사업 타당성 검토가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의협 정의위는 “일차 의료기관의 데이터를 취합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며 일차의료를 통해 축적된 의료정보가 의학발전에 기여하는 방안, 환자들에게 양질의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등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