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발전총연합 “한국 간호 발전, 회원 목소리와 판단 반영에서 시작”1만4647명 참여…간협 “실체불명의 단체, 참여 자제해 달라”
대한간호협회 임원선거를 간선제에서 직선제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한국간호발전총연합은 지난달 27일부터 온라인을 통해 ‘대한간호협회 임원선거 직선제 촉구를 위한 10만명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참여자가 지난 9일 1만4,647명을 넘어섰다.

이들은 “대통령 직선제가 시행된 지 28년이고 타 보건의료단체인 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약사회도 직선제를 실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간협만 간선제를 고집하고 있다“며 “18만 간호사의 중앙회인 간협의 임원선거가 공정한 절차에 의해 일반회원 다수가 참여할 수 있도록 변화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서명운동을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5개 보건의료단체 별 회장선거관리 규정 비교표를 게시하며 회장선거 간선제의 불합리함을 피력했다.

이들에 따르면 모든 회원이 선거권을 가지는 의협, 치협, 한의협, 약협과 달리 간협은 임원 및 대의원 총 311명만이 선거권을 가진다. 또 모든 회원이 피선거권을 가지는 타 단체와 달리 간협은 2년 이상 중앙회 임원 경력자만이 임원선거에 나갈 수 있다.
이에 이들은 “연 300여억원의 예산집행과 의사결정에 311명의 임원 및 대의원들만 참여하게 하는 것은 18만명의 일반 (간협) 회원들을 제도적으로 배제하는 것”이라며 “회장 후보 자격에 2년 이상 중앙회 임원 경력자라는 부대조건을 붙여 대상범위를 제도적으로 최소화한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후보등록 제도가 없는 것 또한 구시대적인 선거관리규정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간협은 타 보건의료단체와 달리 후보등록제도가 없어 전국의 17개 지부는 후보대상이 누구인지 공약이 무엇인지 모른채 선거관리위원회가 정해주는 동일한 날에 이사회를 개최하고 후보를 추천한다”며 “(이 때문에) 지난 선거에서는 회장직 1명에 후보 1명, 이사직에 8명에 후보 8명이 입후보해 선택이 아닌 가부를 묻는 초유의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말했다.
직선제 시행을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간협의 주장도 “근거 없다”며 날을 세웠다.
이들은 “중앙선관위 선거2과에 의하면 간협 등록회원 18만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를 진행하는 경우 선관위 홈페이지에 이용신청서를 접수하고 1인당 370원(부가세 별도)를 지급하면 돼 총 예상 소요경비는 6,660만원”이라며 “그럼에도 (간협은) 막대한 예산 소요를 이유로 회원들의 알권리와 참여를 제한하며 소수에게 권력구조를 집중하는 간선제를 고집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한국 간호의 발전은 가능한 모든 회원들의 목소리와 판단을 반영할 수 있는 절차에서 시작된다”며 “직전제를 시발점으로 간협에 변화와 개혁의 바람이 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움직임에 간협은 회원들에게 참여를 자제해 달라는 문자를 발송하는 등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간협은 서명운동 시작 직후 “실체불명의 단체가 개인정보를 요구하며 간협 임원선거 직선제 촉구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다”면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회원들의 피해가 예상되니 참여를 자제해 달라”고 회원들에게 문자를 발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