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순 의원 “환자 중심 의료 환경 개선 위해 인증 활성화해야”

정부가 의료기관 간 환자 의료기록 전송이 가능하도록 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을 시행하고 있지만 의료기관들의 참여율 저조로 인해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국내 의료기관 중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사용인증 확득 기관이 11%로 매우 저조한 것으로 조사됐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우리나라 의료기관 중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사용인증을 획득한 곳은 1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의 ‘EMR 도입 의료기관 현황’ 자료를 분석해 13일 공개했다.

남 의원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전체의료기관 3만 6,234개소 중 인증된 EMR 시스템을 도입한 의료기관은 82%인 2만 9,733개소이며 EMR 사용인증 획득 의료기관은 11%인 4,057개소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9월 기준 EMR 사용인증 획득 의료기관을 종별로 살펴보면 ▲상급종합병원은 47개소 모두 사용인증을 획득한 반면 ▲종합병원은 330개소 중 52%인 172개소 ▲의원은 3만 4,477개소 중 11%인 3,788개소 ▲병원은 1,380개소 중 4%인 50개소 등이었다.

EMR 사용인증 획득 의료기관은 2021년 3,255개소에서 2023년 4.014개소, 올해 9월 현재 4057개소로 증가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남 의원은 “EMR 시스템 인증제는 자율인증제로 의료기관에 대한 직접적인 인센티브 부족에 따른 병·의원의 관심 및 참여율이 저조한 실정”이라며 “의료기관이 정부의 공인된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자격을 갖춰 환자진료 기록 신뢰성을 향상하고 의료정보 보호로 안전하고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EMR 인증제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의료질평가 시행분부터 종합병원 이상 EMR 인증 여부에 0.7점을 부여하고 있으나 병원급은 확산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이 의료기관 부담 완화를 위해 인증절차 간소화, 상호 운용성 강화를 위한 표준(K.R CDI-KRCore) 필수 적용 등 EMR 인증기준 개선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인 만큼, 의료기관에서 EMR 사용인증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의료환경 개선과 의료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