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3일 ‘임상현장에서의 의료 AI 활용 실태와 주요 쟁점’ 회의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의료 인공지능(AI)' 활용 관련 주요 쟁점을 점검하기 위해 원탁회의를 개최한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의료 인공지능(AI)' 활용 관련 주요 쟁점을 점검하기 위해 원탁회의를 개최한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의료 인공지능(AI)’ 활용과 관련한 주요 쟁점을 점검하는 시간을 갖는다.

보의연은 오는 23일 오후 코트야드 메리어트 서울 남대문 한양룸1에서 ‘임상현장에서의 의료 AI 활용 실태와 주요 쟁점’을 주제로 원탁회의를 개최한다.

의료 AI 기술은 최근 진단 및 치료보조, 환자관리, 사전진료 지원 등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활발히 활용되고 있지만 임상 분야별 요구사항의 차이에 따라 유용성의 편차가 존재하며 이로 인해 안전성, 신뢰도, 법적 책임 등의 문제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 AI의 적정 활용을 위한 체계적인 논의와 기준 마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번 원탁회의에서는 임상현장에서 의료 AI 활용 실태를 비롯해 주요 쟁점을 파악하고 향후 적정 활용 기준 마련에 필요한 기반을 조성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정규환 교수의 ‘의료 AI의 현재와 미래’ 키노트 발표를 시작으로 ▲연세의대 유승찬 교수의 ‘생성형 AI의 실제 의무기록 초안 작성 사례’ ▲건양대병원 김종엽 교수의 ‘의료 AI 임상 실증 플랫폼’ ▲서울대병원 이형철 교수의 ‘한국형 의료 LLM 개발’ ▲삼성서울병원 손명희 교수의 ‘소아 응급의료에서의 의료 AI 적용 사례 및 도전 과제’ ▲삼성서울병원 이만경 교수의 ‘LLM for Supportive Care’ ▲울산대병원 옥민수 교수의 ‘퇴원환자관리 PRO 플랫폼 운영’ 등 임상현장에서의 의료 AI 활용 사례가 공유된다.

이어지는 패널 토의에서는 청년의사 박재영 주간이 좌장을 맡고 시화병원 박형준 과장과 루닛 이상협 부서장이 각각 임상현장과 산업계의 관점에서 의료 AI 활용 니즈에 대해 토론한다.

또한 국회입법조사처 김은정 조사관은 의료 AI의 적정 활용을 위한 국회의 역할을 중심으로 토론하고 보의연 국민참여단 이성재님이 국민 시선에서 바라본 의료 AI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보의연 이재태 원장은 “의료 AI의 발전은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인 동시에 그에 따른 잠재적 위험에 대한 신중한 접근도 필요하다”며 “이번 원탁회의를 통해 실질적인 의료 AI 활용 기준을 마련할 수 있는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행사는 별도 사전등록 없이 누구나 현장 참여 가능하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