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암정보센터가 설립 20주년을 맞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사진제공: 국립암센터).
국가암정보센터가 설립 20주년을 맞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사진제공: 국립암센터).

국가암정보센터가 설립 20주년을 맞아 심포지엄을 개최해 '국가암지식정보센터'로의 확대 개편을 알렸다.

국립암센터는 국가암정보센터가 지난 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가암정보센터 20주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심포지엄은 지난 20년간 국민에게 신뢰할 수 있는 암 정보를 제공해 온 국가암정보센터 성과를 되돌아보고, 국가암지식정보센터로 확대 개편해 향후 지속 가능한 암 정보 제공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심포지엄은 ▲기조 세션 ▲20주년 기념식 ▲정책 세션 ▲종합 토론으로 진행됐다.

기조 세션은 서울의대 강건욱 교수가 좌장을 맡아 ‘정보 오남용의 사회적 영향과 대응 전략’을 주제로 진행됐다. 또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이은주 교수가 ‘AI와 허위조작 정보’를 주제로 생성형 AI 기술이 허위정보 생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발표했다. 국립암센터 강은교 교수는 ‘의료 분야의 정보 오남용: 유튜브 속 건강정보,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를 주제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유통되는 건강정보 신뢰도에 대한 문제를 짚었다.

기념식에서는 국가암정보센터 홍보영상이 상영됐다. 이어 국립암센터와 대한암학회 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향후 지속 가능한 암 정보 제공과 상호협력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정책 세션은 ‘디지털 암정보의 현실과 도전: 미래를 향한 20년의 비전’을 주제로 진행됐다. 국립암센터 최귀선 국가암관리사업본부장이 좌장을 맡았다. 이 자리에서 성균관의대 조준희 교수는 ‘디지털 암정보의 미래: 더 쉬워진 정보 접근, 더 어려워진 정보 선택’을 제목으로 올바른 정보 제공 방안을 논의했다. 한림대 광고홍보학과 박동진 교수는 ‘가짜뉴스 확산과 헬스리터러시(Health Literacy, 건강정보이해능력): 건강정보의 미래 전략’을 주제로 가짜뉴스 확산 속에서도 국민이 건강한 판단을 내릴 수 있는 전략을 제시했다.

종합 토론에서는 ‘효과적 암정보 소통을 위한 사회 각계의 역할과 과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서울의대 지의규 교수가 좌장을 맡아 보건·의료계, 암 환자단체, 언론, 정부 기관 등 전문가가 참석해 암 정보 미래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국립암센터 양한광 원장은 “국가암정보센터는 지난 20년간 국민에게 신뢰할 수 있는 암 정보를 제공해 온 든든한 동반자였다”며 “국민에게 암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정보 플랫폼으로서 소통을 강화하고, 올바른 암 정보 확산에 더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