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질환연합회 "의료계와 대화 통한 의료개혁 불가능"

대한의학회와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협회(KAMC)가 여의정협의체에서 이탈하자 환자단체가 "참담하다"고 밝혔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대한의학회와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협회(KAMC)가 여의정협의체에서 이탈하자 환자단체가 "참담하다"고 밝혔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대한의학회와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협회(KAMC)가 여의정협의체 참여 중단을 선언하자, 환자단체가 환자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협력기구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지난 3일 논평을 통해 "여야의정협의체가 야당의 불참으로 여의정협의체가 되더니 의사단체 탈퇴로 완전히 문을 닫았다"며 "참담하다"고 했다.

중증질환연합회는 "환자와 국민은 지난 10개월 동안 의료계·정치권·정부기관의 무책임·무능력·무대책 행태와 이번 여의정협의체 파탄을 보면서 절망의 늪으로 빠져 들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의료계를 설득하지 못한 정부도 책임이 있지만 여의정협의체를 박차고 나온 의료계의 잘못도 크다고 했다.

중증질환연합회는 "의대 정원 증원은 국민의 80%가 지지했다. 다만 정부의 의료계 설득이 미흡했고, 전공의 집단사직 장기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미진했다"며 "그러나 의사의 불만 해소를 위한 정부 노력은 부족하지 않다는 평가도 받았다"고 했다.

중증질환연합회는 "정부의 노력이 이기적인 의사집단의 행태에 가로막히면서 국민과 환자는 지난 10개월 동안 고통을 겪었다"며 "마지막 희망이었던 여의정협의체마저도 의사단체가 걷어 차 버렸다. 더이상 대화를 통한 의료개혁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의사가 스스로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정부와 환자단체로 구성된 새로운 협력기구를 통해 의료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중증질환연합회는 "정부와 환자단체로 구성된 새로운 협력기구를 통해 의료개혁을 거침없이 추진해야 한다"며 "정부는 더이상 시간 끌지 말고 추진하려던 의료개혁을 강력하게 추진하라. 그 과정에서 의료공급자인 의사보다 수요자인 국민과 환자 목소리를 더 많이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