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사 항체 및 TPD 기술 결합 통해 신약개발 목표
항체 신약 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가 표적단백질분해(TPD) 기술 기반 신약개발 기업 유빅스테라퓨틱스와 항체-분해약물접합체(Degrader-Antibody Conjugate, DAC) 신약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항체 신약 개발 전문 바이오텍과 표적단백질분해 전문 바이오텍 간의 협업 모델로, 와이바이오로직스가 발굴한 항체와 유빅스테라퓨틱스의 표적단백질분해(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기술을 결합한 DAC 신약 개발이 핵심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2007년 설립 이후 독자적인 항체 디스커버리 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바이오 의약품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해왔다. 현재까지 8건의 기술이전 계약을 성사시켰으며, 항체약물접합체(ADC), 이중항체, 세포치료제 등을 이용한 항암 면역제부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까지 다양한 신약 개발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유빅스테라퓨틱스는 2018년 설립된 TPD 신약 개발 업체로, 독자적인 TPD 신약 발굴 플랫폼 ‘디그레듀서(Degraducer)’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SK바이오팜, 유한양행 등과 파트너십을 구축했으며, 최근 유한양행과 1,500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 체결 및 257억원 규모의 Pre-IPO 투자 유치에 성공해 2025년 하반기 기업공개(IPO)를 목표로 하고 있다.
TPD 신약은 세포 내 표적 단백질의 선택적 분해를 유도하는 치료제로, 표적 단백질 결합부위와 E3 유비퀴틴 리가제 결합부위, 이 둘을 연결하는 링커로 구성된 이종이기능성 유기 저분자를 활용한다. 이는 기존에 접근할 수 없었던 질병 표적을 겨냥하고 약물 내성도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 중인 DAC 신약은 암세포 주변 종양미세환경에서 작용하는 특정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다. 이 단백질은 암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동시에 면역세포의 기능을 억제하는 이중 역할을 하는데, DAC 신약은 이러한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기존 치료제보다 우수한 항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빅스테라퓨틱스 관계자는 “디그레듀서 기술과 와이바이오로직스의 항체 개발 플랫폼 결합을 통해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한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신속하게 개발 성과를 창출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도 가속화하겠다”고 전했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TPD 분야의 혁신적인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파트너와 신약 개발에 도전하게 된 의미 있는 계약”이라며 “양사의 전문성이 결합된 시너지를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는 DAC 물질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1조원대 기술수출 이끈 두 바이오社, 다시 뭉쳤다
- 유빅스테라퓨틱스, 257억 규모 Pre-IPO 투자 유치
- 이노엔, 자가면역질환 신약 中 기술이전
- 유빅스테라퓨틱스, 전립선암 치료제 비임상 연구 발표
- 유한양행, 전립선암 치료제 기술도입…제2의 렉라자 기대↑
- 이노엔‧아이엠바이오‧와이바이오, 공동개발 신약 美 기술이전
- 유나이티드제약-와이바이오로직스, 신규 ADC 항암제 개발
- 와이바이오로직스, AACR서 AR062 항체 연구결과 발표
- 와이바이오로직스, 박셀바이오에 항체 서열 기술이전
- 와이바이오로직스, 코스닥 시장 입성
- 상장 앞둔 와이바이오로직스 “젠맙 같은 글로벌 파마로 도약”
- 와이바이오로직스, 바이오USA 참가…”글로벌 파트너링 추진”
- ADC 뒤를 잇는 신약 기술 패권…韓기업들 DAC로 승부수
- 유빅스테라퓨틱스, 기평 통과…TPD 임상·기술이전 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