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권역책임의료기관 시설‧장비 지원사업’ 공고

보건복지부는 전국 17개 권역책임의료기관 최종치료 역량 강화를 위한 '권역책임의료기관 시설 장비 지원사업 추진계획'을 13일 공고했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보건복지부는 전국 17개 권역책임의료기관 최종치료 역량 강화를 위한 '권역책임의료기관 시설 장비 지원사업 추진계획'을 13일 공고했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전국 17개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최종치료 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812억원이 투입된다.

보건복지부는 13일 지역 완결적 필수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권역책임의료기관 시설‧장비 지원사업 추진계획을 공고했다.

권역책임의료기관 시설‧장비 지원사업은 시도별 권역책임의료기관 17개의 최종치료 역량 강화를 위한 중증‧고난도 진료 관련 인프라 첨단화 사업으로 올해 예산 812억원이 편성됐다.

권역책임의료기관은 고난도 필수의료 진료를 제공하고 권역 내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를 기획‧조정하는 리더 병원으로, 지난 2019년부터 지역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지정했다. 현재 모든 시도에 권역책임의료기관 지정이 완료돼 권역의 필수의료 협력체계를 총괄 중이다.

제공: 보건복지부 
제공: 보건복지부

이번 사업은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중증질환 최종치료 역량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사업으로 지역의료 살리기의 핵심 과제다.

복지부는 시도와 권역 책임의료기관 간 협력을 통해 추진되는 대규모 재정투자 사업으로 지역‧필수의료 문제 해결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 확보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중증‧고난도 질환 치료역량 강화를 위해 ▲수술실 현대화 ▲중증질환 치료 첨단장비 구축 ▲중환자실 시설‧장비 개선 ▲특수 중환자실 확충 등을 지원한다.

또한 재정투자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각 권역책임의료기관이 마련한 사업계획서를 토대로 현장 수요 맞춤형 투자가 진행될 예정이다. 권역책임의료기관은 지역 필수의료 여건과 병원 진료 역량 진단을 토대로 사업계획서를 마련해 지자체와 협의 후 복지부에 제출하면 된다.

이후 복지부는 관련 전문가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사업계획 타당성을 검토하고 현장평가 등 심의를 거친 후 기관별 최종 지원 규모를 확정할 계획이다. 평가위는 건축, 보건의료, 임상의료, 공무원 등 관련 전문가 7인 내외로 구성된다.

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은 “지역 완결적 필수의료체계 구축을 위해 권역책임의료기관이 확고한 임상적 리더십을 갖춰야 한다”며 “올해부터 본격 추진될 의료개혁 재정투자를 통해 거점병원 최종 치료역량을 획기적으로 제고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의료 확충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