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효율적 의료인력 적재적소 배치를 위해 지역‧의료기관 유형‧전문과목을 아우르는 인력 협력 방안을 찾는다.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산하 ‘의료인력전문위원회’는 지난 12일 제12차 회의를 개최해 이같은 내용의 의료인력 운영 혁신을 위한 배치‧운영 개선방향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국민들의 의료서비스 접근성 향상 및 효율적 인력 운영을 위한 ‘보건의료인력 배치‧운영체계 개선 방향’과 직종 간 업무범위 합리화를 위한 ‘진료지원간호사 제도화 추진 방향’에 대한 논의가 각각 진행됐다.
특히 효율적 인력 운영을 위해 인력의 적재적소 배치가 중요하다는 관점 하에 인력의 지역별, 의료기관 유형별, 전문과목별 분포에 관한 사항을 살폈다.
전문위는 이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적절한 협력 유인 방향에 대해 논의할 방침이다.
진료지원간호사 제도화 추진 방향과 관련해선, 지난 9월 간호법 제정으로 근거가 마련된 ▲진료지원업무 내용과 기준 ▲적정 임상요건 및 교육과정 체계화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와 관련한 세부 제도화 방안은 지난 10월 발족한 ‘진료지원업무 제도화 자문단’을 통해 별도 논의할 예정이다.
의개특위 노연홍 위원장은 “균형있는 인력 배치와 효율적 운영은 적절한 인력 수급 및 양성과 함께 이뤄져야 가능하다”며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을 통해 발표한 의료인력 수급 및 양성 방안을 바탕으로 균형있는 인력 배치, 진료지원간호사 제도화 등 인력 운영 혁신 실행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말했다.
곽성순 기자
kss@docdoc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