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 희귀암 환자 84명 대상 ‘루닛 스코프 IO’ 분석
루닛(대표 서범석)은 지난 6일부터 10일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개최된 '2024 미국면역항암학회(이하 SITC 2024)'에서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한 희귀암 환자 대상 면역항암제(키트루다) 치료 반응 예측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500건 이상의 생검 조직에 대한 종양미세환경(TME) 변화를 분석해 SITC 학술위원회로부터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신속 구연 발표(Rapid Oral Presentation)' 세션 및 ‘SITC 100대 연구초록(SITC TOP100 Abstracts)’에 선정되기도 했다.
미국 텍사스대학교 MD앤더슨 암센터(The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와 공동으로 진행된 연구는 10개의 희귀 암종 환자 84명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종양 내 면역세포의 밀집도를 나타내는 '종양침윤림프구밀도(iTIL)'와 전체 조직 중 암세포가 차지하는 비율인 '종양 분율(TC)'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치료 전 종양침윤림프구가 높은 암종에서 종양침윤림프구의 밀도가 60/mm² 이상으로 높은 경우 면역항암 치료 시 질병 진행 위험이 51% 감소하는 등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또 연구진은 면역항암제 치료 전과 치료 시작 후 15~21일 경과 시점의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종양침윤림프구가 2배 이상 증가한 환자들은 질병 진행 위험이 35%, 사망 위험이 41% 각각 감소했다. 치료 후 종양분율이 30% 이상 감소한 환자들은 질병 진행 위험이 49%, 사망 위험이 46% 각각 감소했다.
두 가지 변화가 모두 나타난 환자군에서는 질병 진행 위험이 68%, 사망 위험이 72% 각각 감소했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매우 신뢰할 만한 수준이었다(각각 P=0.003, P=0.009).
루닛 서범석 대표는 “세계 최고의 암 연구기관인 MD앤더슨과 협력해 도출한 이번 연구 결과는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희귀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루닛 스코프 IO의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주요 암 연구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해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볼파라, 美 국방보건국과 ‘유방암 검진 솔루션’ 공급 계약
- 다보스병원, AI 영상진단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 도입
- 루닛, ‘SITC 2024’서 희귀종양 치료효과 예측 연구 구연발표
- 루닛, ESMO2024서 위암 치료 반응 예측 연구 발표
- 루닛, 2분기 122억 매출 달성…“역대 최대 실적”
- 루닛, 佛 의료기관에 ‘AI 유방암 검진 솔루션’ 공급
- 루닛, RSNA2024서 AI 진단 연구 20편 발표
- 루닛, 멕시코 최대 의료기관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루닛, RSNA 2024서 ‘루닛 인사이트 MMG’ 임상 공개
- 루닛, RSNA2024서 '차세대 AI 솔루션' 2종 공개
- 루닛, AI 기반 IHC 분석 기술 네이처 자매지 게재
- 루닛 자회사 볼파라, 헤드필드 신임 CEO 선임
- 루닛, 유상증자 루머에 주가 급락…회사는 “계획 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