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센코리아, 불응성 갑상선암 최신 지견 심포지엄 개최
입센코리아가 지난 8월 30일 불응성 갑상선암의 최신 지견과 연구 동향을 논의하는 메디컬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갑상선암은 2021년 기준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초기 치료 시 생존율이 98%에 이르지만, 방사성 요오드에 불응하는 분화갑상선암은 10년 생존율이 10%에 불과하다.
심포지엄에서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신동엽 교수는 갑상선암 수술 후 관리법을, 강남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이서영 교수는 방사성 요오드 불응성 분화갑상선암의 2차 전신요법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방사성 요오드 불응성 분화갑상선암의 치료에 표적항암제 ‘카보메틱스(성분명 카보잔티닙)’의 보험 급여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카보메틱스의 허가가 방사성 요오드 불응성 분화갑상선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카보메틱스는 2021년과 2022년에 미국과 유럽에서 방사성 요오드 불응성 진행성 분화갑상선암 적응증 추가를 승인받았으며, 2023년 10월 국내에서도 해당 적응증에 승인됐다. 카보메틱스는 글로벌 가이드라인과 국내 진료 권고안에서 1차 TKI 치료 실패 후 권고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김선욱 교수는 “수술 이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갑상선암일 경우 생존률이 굉장히 낮은 편”이라며 “암 진행 속도가 빠르다고 판단이 되면 보통은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계열의 표적항암제 치료를 고려하게 되는데, 2차 약제인 카보잔티닙 등이 보험 급여가 안 되어 환자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치료를 포기하는 사례들을 볼 때 너무 안타깝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테빔브라'·'페마자이레', 재도전 끝에 암질심 통과
- 입센코리아, ‘카보메틱스’ 급여 5주년 기념행사 개최
- 신장암 치료서 기대와 우려 공존하는 '카보메틱스' 3제요법
- RSA 재계약 앞둔 '카보메틱스', 옵디보 병용도 관심↑
- 옵디보·카보메틱스, 신장암 1차 치료서 장기 효과 입증
- '카보메틱스', 면역항암제 병용에도 '넥사바' 벽 못 넘어
- 신장암치료제 '카보메틱스' 등 내달부터 급여
- 신세포암 신약 '카보메틱스', 국내 허가
- “재발률 높은 신세포암…2차 치료 환경 개선 필요”
- "갑상선기능항진증 ‘방사성 요오드 치료’가 더 효과적"
- '트로델비', ICER 임계값 탄력 적용 1호로 약평위 통과
- 입센코리아, ‘세계 희귀질환의 날’ 맞아 KORD 사무총장 초청
- “입센, 희귀 간질환 리더십 바탕 한국 환자 접근성 개선”
- 양고은 교수팀, 새로운 갑상선암 확산 예측법 발견
- 동아ST, 입센코리아 전립선암 치료제 ‘디페렐린’ 판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