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센코리아, 불응성 갑상선암 최신 지견 심포지엄 개최

지난 8월 30일 열린 입센코리아 불응성 갑상선암 심포지엄에서 강남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이서영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제공: 입센코리아).
지난 8월 30일 열린 입센코리아 불응성 갑상선암 심포지엄에서 강남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이서영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제공: 입센코리아).

입센코리아가 지난 8월 30일 불응성 갑상선암의 최신 지견과 연구 동향을 논의하는 메디컬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갑상선암은 2021년 기준 국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초기 치료 시 생존율이 98%에 이르지만, 방사성 요오드에 불응하는 분화갑상선암은 10년 생존율이 10%에 불과하다.

심포지엄에서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신동엽 교수는 갑상선암 수술 후 관리법을, 강남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이서영 교수는 방사성 요오드 불응성 분화갑상선암의 2차 전신요법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전문가들은 방사성 요오드 불응성 분화갑상선암의 치료에 표적항암제 ‘카보메틱스(성분명 카보잔티닙)’의 보험 급여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카보메틱스의 허가가 방사성 요오드 불응성 분화갑상선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다는 의견이 모아졌다.

카보메틱스는 2021년과 2022년에 미국과 유럽에서 방사성 요오드 불응성 진행성 분화갑상선암 적응증 추가를 승인받았으며, 2023년 10월 국내에서도 해당 적응증에 승인됐다. 카보메틱스는 글로벌 가이드라인과 국내 진료 권고안에서 1차 TKI 치료 실패 후 권고되고 있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내과 김선욱 교수는 “수술 이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갑상선암일 경우 생존률이 굉장히 낮은 편”이라며 “암 진행 속도가 빠르다고 판단이 되면 보통은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 계열의 표적항암제 치료를 고려하게 되는데, 2차 약제인 카보잔티닙 등이 보험 급여가 안 되어 환자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치료를 포기하는 사례들을 볼 때 너무 안타깝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