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개혁특위 ‘제1차 비급여·실손보험 소위’ 개최
정부가 비급여와 실손의료보험 개혁 방안을 본격으로 논의한다.
정부는 24일 오후 의료개혁특별위원회 필수의료·공정보상전문위 산하에 ‘비급여·실손보험 소위원회’를 구성하고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2월 ‘의료개혁 4대 과제’를 통해 필수의료에 대한 공정한 보상체계를 확립하고 적정 의료 이용·공급체계 구축을 위한 비급여 관리와 실손보험 개선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비급여·실손보험 개선을 위해서는 급여를 포함한 전체 의료체계에 대한 고려와 보험업과 연계한 심층 검토가 필요한 만큼 이를 충실히 논의하기 위해 전문가, 의료계, 환자·소비자, 보험업계, 보건복지부·금융위원회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소위원회를 전문위 산하에 구성했다.
소위에서는 비급여 관리와 실손보험 개선 관련 과제를 격주로 논의한다. 논의 결과를 전문위에 상정하고 금융당국이 운영 중인 보험개혁회의와도 연계할 계획이다.
소위 정형선 위원장은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서는 필수의료에 대한 보상 확대와 함께 비급여 관리와 실손보험 개혁이 병행돼야 한다”며 “소위 논의를 통해 연말까지 구체적인 개혁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곽성순 기자
kss@docdocdoc.co.kr
관련기사
- "‘혼합진료’ 전면 금지 아닌 필수분야만 ‘부분적 허용’ 必"
- 의료개혁 정책은 ‘빛 좋은 개살구’? 이주영 의원 “구체적 계획 뭔가”
- 비급여 의무 보고, 전체 의료기관 ‘95%’ 참여
- 4세대 실손보험, 비급여 이용량 따라 보험료 달라진다
- “필수의료 분야 투자, 실질적 재정 투입 중요”
- 政 ‘비급여 진료’ 비중 높은 의료기관 공시 검토
- 政 비급여 관리 강화 방침에 醫 "필수의료 인프라 붕괴 우려"
- "실손보험, ‘비급여’만 보장…철저 파악해 공개해야"
- 비급여 물리치료 실손보험금 4년간 7조↑…“과잉진료 심각”
- 진단서 요구에 치료방법 선택까지…실손보험이 흔드는 진료실
- 실손보험 청구 경험자, 無경험자보다 외래 의료비·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