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은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당뇨병학회(ADA 2024)’에 참가해 HM15275의 우수한 체중 감량 효능을 확인한 비임상 연구 결과 4건을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한미약품이 ADA 2024에서 HM15275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 한미약품)
한미약품이 ADA 2024에서 HM15275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 한미약품)

한미의 차세대 지속형 플랫폼 기술 ‘아실레이션(Acylation)’이 적용된 HM15275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와 위 억제 펩타이드(GIP), 글루카곤(Glucagon, GCG) 등 세 가지 수용체가 각각 작용해 비만을 치료하는 기전의 약물이다.

한미약품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HM15275 반복 투약 때 기존 치료제들 보다 우수한 체중 감소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 다른 3건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통해 HM15275가 다양한 대사성 질환에서 효과를 나타낸다는 내용과 그 작용 기전을 소개했다. 한미약품은 HM15275가 고혈압에 따른 심장 비대 및 심장 섬유화 증상에서 현존 치료제 보다 우수한 심장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와 함께, 다양한 심부전 모델에서 발생하는 운동능력 저하를 크게 개선해 심부전 치료 가능성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했다.

아울러 심근세포 및 심장 섬유아세포에도 직접적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대사 개선을 통한 긍정적 영향 이상의 심혈관 질환 개선 효능을 가져다줄 수 있음을 입증했다.

또 다른 발표에서는 HM15275가 신장 내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족세포 및 신장 근위 세뇨관 상피 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토대로 다양한 신장질환 모델에서 신장 기능 및 섬유화 개선 효능을 입증한 결과를 공개했다.

한편 한미약품은 지난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HM15275의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고, 6월 중순부터 HM15275의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환자 등록을 시작해 첫 투약을 완료했다.

한미약품 최인영 R&D센터장은 “올해 ADA 발표는 ‘차세대 비만 신약’을 국제 학회에서 처음 선보이며 비만치료 분야의 선도적 입지를 공고히 했다는 점에서 남다른 의미를 갖는다”며 “연말에는 에페글레나타이드, HM15275에 이어 비(非)인크레틴 작용 기전의 신개념 비만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