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필수의료 패키지 원점부터 협상 촉구

의과대학 정원과 필수의료 정책을 원점부터 의료계와 함께 만들라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의료계는 필수의료 분야에서 희망을 찾지 못한 전공의와 의대생이 돌아오도록 대통령이 나서라고 했다.

대한신경외과학회는 15일 성명을 내고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문제를 원점에서 다시 다루라고 촉구했다. 전공의 사직과 의대생 휴학 사태 책임은 정부의 "준비되지 않은 정책 추진" 때문이라고 분명히 했다.

신경외과학회는 "대한민국 의료가 위태롭다. 잘못된 정책 제시가 근근이 이어지던 필수의료 싹을 짓밟았다"며 "현장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탁상공론식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으로 필수 응급 의료 현장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전공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한다"고 했다.

"잘못된 의료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환자 치료를 위해 병원을 지킨 신경외과 의사들은 "잘못된 의료 정책 추진으로 발생한 현재 위기에 사명감을 느낀다"며 "정부는 의료 정책을 수립하면서 의료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지방의료 소실과 필수의료 부족은 "이른 시일 내 시행할 수 있는 제도 개선과 과감한 재정 추가로 해결하라"고 주문했다.

협상장 마련을 위해 정부와 의료계가 "서로 주장만 고집하지 말고 열린 마음으로 나와야 한다"고도 했다. 협상이 진행되면 전공의와 의대생도 "본연의 자리로 돌아오라"고 했다.

대한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의료계와 협의를 위해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윤석열 대통령 결단을 촉구했다.

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는 "의료 현장 붕괴가 임박했는데도 윤석열 정부는 2,000명이라는 숫자에 집착하는 기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2,000명이라는 숫자만큼은 절대 못 바꾼다는 아집과 불통으로는 현 상황을 해결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병원과 대학을 떠난 전공의와 의대생이 돌아오려면 "이들이 수련받고 전문의가 돼 자부심과 보람으로 자유롭게 일할 수 있다는 희망을 줘야 한다"며 "대통령과 정부는 이제라도 독선과 불통을 버리고 원점에서 (의료계와) 협의하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