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심장학회 “젊은 의사들 의업 포기 보고만 있을 순 없어”
대표적인 필수과지만 '기피과'로 전락해 후학양성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아심장 전문의들이 정부의 밀어붙이기식 정책 추진을 멈춰 달라고 호소했다. 지역·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의료개혁이 오히려 “필수의료를 암울하게 만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소아심장학회는 지난 12일 호소문을 통해 “전문가 의견수렴은 물론 충분한 논의조차 거치지 않고 의대정원 확대 정책을 일방적으로 밀어붙여 이를 반대하는 젊은 의사들을 범죄자로 취급하고 있는 현 사태는 환자 생명과 건강을 지킨다는 자부심 하나로 헌신해 온 소아심장 전문의로서 개탄을 금치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소아심장학회는 “소아심장 분야는 전 세계 최고 수준을 갖춘 고도의 전문 의료분야임에도 저수가에 과도한 업무량, 의료분쟁 위험 부담 때문에 일찌감치 젊은 의사들이 기피하는 과로 전락돼 미래에는 선천성심장병을 치료할 수 있는 의사들이 대한민국에 존재할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이 지속적으로 있었다”고 했다.
소아심장학회는 “해결책을 찾고자 수년 동안 노력해 왔지만 정부의 불통으로 점철된 의대 정원 확대 밀어붙이기와 실효성이 부족한 필수의료 패키지는 필수의료에 종사하는 의료인들까지 허탈감에 무너지게 만들고 있다”며 “국민 건강이 위협받게 되고 젊은 의사들이 의업을 포기하게 만드는 상황을 보고만 있을 수는 없다”고도 했다.
지역·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서는 젊은 의사들이 자부심을 갖고 필수과에 지원할 수 있도록 의료현장 목소리를 경청해 줄 것을 요청했다. 정부의 의료개혁 전면재검토 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소아심장학회는 “필수의료 존립은 긴급히 해결해야 할 의료현실이지만 의대 정원 확대와 필수의료 패키지는 근거가 빈약한 일방적인 정부 정책으로 필수과 미래를 암울하게 만들고 있다”며 “지역·필수의료를 살리고 싶다면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의료인들의 목소리를 경청해 (정책을) 재점검하고 단계적으로 수립·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또 “필수의료 최전방에 있는 의사들과 미래 필수의료를 이끌어 갈 주역들이 긍지와 자부심을 갖고 지속해서 중증환자들을 치료할 수 있는 전화위복 전환점이 되길 간곡히 요청한다”며 “어린이들의 건강한 심장을 책임지는 의사로 앞으로도 사명감을 갖고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도 했다.
관련기사
- "年2천명 증원? ‘속도 조절’ 필요…돌아오는 길 생각해야”
- 목소리 높이는 교수에 "감사하다"는 의대생…협상안에는 "글쎄"
- 의대 19곳 교수 비대위 결성…15일까지 ‘사직’ 여부 결정
- 의대 증원 이번 주 '고비'…한 자리 모인 서울의대 구성원
- 政, 서울의대 비대위 의대 증원 ‘1년 연기’ 제안 거절
- 의협도 서울의대 비대위 제안에 "일방적 희망" 선 그어
- 국립대의대 교수들, ‘정부-의료계’ 대화 협의체 구성 촉구
- 출구 안보이는 의대 증원 논란…해법 찾는 의대교수들
- ‘빅5병원’ 줄도산 우려…“붕괴되면 되돌릴 수 없어”
- ‘미복귀 전공의’ 행정절차 ‘법적쟁점’은?
- 복지부 ‘심장전문병원’ 고난이도 수술 보상 강화
- “돈만 아는 집단이라는 시선…후배들에 물려주고 싶지 않아”
- "지금이 불안, 누구를 위한 의료개혁인가" 환자·소비자단체도 분통
- [기획] 필수의료 선봉 소아심장외과 울리는 ‘이름없는 수술’들
- 1명, 2명, 6명…교수 은퇴하면 그대로 '끝'인 소아 외과 수술 현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