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계백병원교수협 비대위, "협박 아닌 ‘협의’ 보여줘야"

의대 교수들이 정부를 향해 전공의와 의대생들에 대한 강압을 멈춰 달라고 촉구했다(ⓒ청년의사).
의대 교수들이 정부를 향해 전공의와 의대생들에 대한 강압을 멈춰 달라고 촉구했다(ⓒ청년의사).

의대 교수들이 정부를 향해 의대생과 전공의들을 향한 강압과 협박을 멈춰 달라고 촉구했다. 전공의와 의대생 처벌 시 ‘중대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다며 ‘단체 행동’을 암시하기도 했다.

상계백병원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1일 성명서를 통해 “의료계는 지역·필수의료 문제에 대해 수차례 의료정책 개선을 요청해왔으나 정부는 전문가 의견을 철저히 외면하고 선심성 정책만 남발해 현재의 의료사태를 유발 했음에도 의사 수를 늘리면 저절로 해결될 것이라는 논리만을 내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정부는 2,000명 의대 정원 증원일 필요하다는 근거자료도 제시하지 못하면서 교육을 담당하는 의대 시설이나 인력도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당장 2025년도 입시에서 현재 의대 정원의 65%에 해당하는 2,000명을 증원하겠다는 무책임한 주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했다.

비대위는 “필수의료를 담당하는 의료진에 대한 처우 개선과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한 장기적인 로드맵이 필요하다는 문제 해결 방법을 수차례 제시했으나 정부는 오로지 의대 정원 증원과 현실에 맞지 않는 필수의료 패키지만 고집하고 있다”고도 했다.

정부가 전공의와 의대생들에 대한 처벌을 단행할 경우 ‘중대결단’을 내리겠다고 엄포했다.

비대위는 “잘못된 정부 정책에 무언의 항의를 하고 있는 전공의들과 의대생들이 본연의 자리로 돌아와 환자들에게 의사로서의 본분을 다하고 정상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먼저 강압이나 협박을 중단하고 신뢰를 바탕으로 협의하는 자세를 보일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졸속정책 추진으로 부작용을 돌이킬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면서 “전공의들의 대량 사직과 의대생 유급으로 인한 대한민국 의료공백을 향후 작게는 5년에서 길게는 10년까지 후유증으로 남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 힘든 진료환경에서도 여전히 환자 진료와 치료에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만약 정부가 정책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전공의들과 의대생들에게 일방적인 불이익과 처벌로만 일관한다면 교수들도 중대결단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천명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