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안명주 교수, 이중항체 치료전략 유효성-안전성 밝혀

국내 의료진이 암 가운데 사망률이 높은 폐암 중에서도 진행 속도가 빠르고 생존율이 낮은 소세포폐암의 치료 효과를 높일 새 치료전략을 제시해 주목된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안명주 교수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안명주 교수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안명주 교수가 소세포폐암 신약 ‘탈라타맙’(Tarlatamab)의 2차 치료제로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치료 전략을 발표했다.

소세포폐암은 세포 크기가 작아 붙은 이름으로, 다른 갈래인 비소세포폐암보다 치료가 어려운 암으로 알려졌다. 수술보다 항암치료에 의존하는데 1차 치료에 반응이 없을 때 쓸 수 있는 치료제가 제한적이다.

또 2차 치료를 하더라도 약물 반응 기간이 짧고 생존율이 8개월을 넘기는 일이 드문 만큼 치명적이다. 전체 폐암의 10~15% 정도로 환자가 적은 탓에 상대적 관심도 낮아 소외된 암으로 불린다.

연구팀은 소세포암에서 틸라타맙과 같은 이중특이성 T세포관여항체(Bispecific T-cell engager, 이중항체)에서 가능성을 찾았다.

탈라타맙은 암세포와 면역세포 두 곳에서 발생한 항원을 인식하는 이중항체 신약으로 암이 면역세포를 회피하려 하더라도 면역세포인 T세포를 끌고 암세포 앞으로 직접 데리고 가서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약물이다.

소세포폐암 환자 85~94%에서 발현하는 ‘DLL3’라는 단백질과 면역세포를 유도하는 ‘CD3’ 수용체를 표적으로 한다.

연구팀은 현재 개발 중인 탈라타맙이 환자 안전을 지키면서 최대 효과를 낼 새 치료 전략을 찾는 것을 목표로 전 세계 17개국 56개 기관에서 소세포폐암의 1차 치료에 실패한 환자 220명을 모집한 뒤 무작위로 나눴다.

연구팀은 미국 식품의약국(FDA) 가이드에 따라 탈라타맙 용량을 10mg과 100mg으로 환자들에게 달리 투여한 뒤 치료 반응과 부작용 등 예후를 살폈다. 그 결과, 임상 효과 면에서 예후 개선과 부작용 감소에는 10mg을 2주 간격으로 투여하는 게 환자에게 최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에 따르면 추적 관찰 기간 동안 객관적 치료 반응이 나타난 환자 비율은 10mg 그룹이 40%로 100mg 그룹 32% 보다 높았다. 무진행 생존기간 중앙값 역시 10mg 그룹이 4.9개월로 100mg 그룹 3.9개월보다 우위를 보였다.

치료 후 9개월 차에 추산한 전체 생존율도 마찬가지로 각각 68%(10mg 그룹), 66%(100mg)으로 소폭이나마 차이를 보였다. 10mg을 투여했을 때 치료효과는 상대적으로 더 높았던 반면 부작용은 줄었다.

T세포를 활성화하는 치료방법인 만큼 과도하게 발현된 면역세포로 인해 ‘사이토카인 폭풍’이 발생할 우려를 배제하기 힘든데 10mg 그룹이 51%, 100mg 그룹이 61%에서 발현됐다. 이 밖에도 식욕감퇴, 발열 등 다른 부작용 역시 투여약물 용량을 줄인 10mg 그룹이 모두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안 교수는 “소세포암은 다른 암과 달리 제한성 병기, 확장성 병기 둘로 나눠 설명할 만큼 단계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확 펴지곤 한다”며 “대부분 환자가 다른 쪽 폐나 장기로 전이돼 치료가 어렵다. 마땅한 치료제도 없는 상황이어서 이런 연구가 계속 이어져 환자들의 고통을 줄이는데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안 교수를 제1저자로 한 이번 연구는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NEJM)에 실렸다.

한편, 안 교수는 지난해 학술정보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Clarivate Analytics)가 발표한 ‘2020년 세계 상위 1% 연구자(Highly Cited Researcher)’로 선정된 바 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