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강북삼성 연구팀, 류마티스 환자…폐암 위험 49%↑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5만1899명 4.5년간 추적 관찰 결과

(사진제공: 삼성서울병원)

류마티스 관절염이 폐암 발병을 부추기는 위험인자로 밝혀졌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폐식도외과 조종호 교수, 강북삼성병원 조미희 교수 연구팀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폐암 발병 위험이 49% 높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활용해 지난 2010년부터 2017년 사이 류마티스 관절염을 새로 진단받은 환자 5만1,899명과 나이와 성별 등 위험요인을 보정해 맞춘 류마티스 관절염이 없는 일반인 대조군 25만9,495명을 대상으로 평균 4.5년간 추적 관찰해 얻은 결과다.

연구팀에 따르면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인한 폐암 발병 위험이 증가 경향은 환자의 흡연력에 따라 달라졌다. 비환자군과 비교했을 때 20갑년 이상인 담배를 피운 환자의 경우 폐암 발병 위험은 87% 더 높았으며, 20갑년 미만도 70%로 높았다. 지금은 담배를 끊었더라도 과거 20갑년 이상 흡연 이력이 있을 경우 79%로 비슷하게 위험도는 증가했다.

이 같은 결과에 대해 연구팀은 만성 염증이 류마티스 관절염과 폐암 사이의 연결고리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뿐만 아니라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 면역을 억제하는 약을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암이 자라는 유리한 환경이 조성됐던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봤다.

연구팀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은 폐암에도 취약하다는 사실이 이번에 확인됐다”며 “폐암은 국내 암 관련 사망 중 1위에 해당하는 만큼 치명적이다.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 즉시 금연해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폐암학회(IASLC)의 공식 학술지(Journal of Thoracic Oncology)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