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충북·건국의대 정원 2배 증원 추진
전남도 "신설 의대 정원 포함해 증원해야"

김영환 충북도지사(왼쪽)는 지난 19일 기자회견을 갖고 충북 지역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한다고 밝혔다(사진제공: 충북도). 전남도의회는 지난 18일 국회를 찾아 전남 지역 국립의대 신설을 요구했다(사진제공: 전남도의회).
김영환 충북도지사(왼쪽)는 지난 19일 기자회견을 갖고 충북 지역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한다고 밝혔다(사진제공: 충북도). 전남도의회는 지난 18일 국회를 찾아 전남 지역 국립의대 신설을 요구했다(사진제공: 전남도의회).

의과대학 정원을 확대하겠다는 정부 방침에 지자체들이 술렁이고 있다. 이미 의대가 있는 지역에서는 이번 기회에 그 규모를 키우자며 ‘정원 확보’에 나섰다. 반면 의대 유치전에 뛰어든 지자체는 확대하는 정원을 신설 의대에 배정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충청북도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지난 19일 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역 내 의대 정원을 2배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충북 지역에서 의대가 있는 대학은 충북대와 건국대 글로컬캠퍼스다. 충북의대 입학 정원은 49명이며 건국의대는 40명이다. 건국의대의 경우 지난 2005년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전환했지만 다시 의대로 복귀하기로 하고 지난 2020년 12월 교육부 승인을 받았다.

김 지사는 “(충북 지역 의대 정원을) 최소 108명 이상 더 확보해야 한다”며 “증원하는 의대 정원은 지역 출신 인재를 우선 선발하고 현장 실습을 충북으로 제한하는 한편 일정 기간 지역 의무 근무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충북도는 지역 의사 부족을 의대 정원 확대 추진 이유로 꼽았다. 충북대병원은 의사 정원이 422명이지만 이를 다 채우지 못하고 59명 부족한 상태며 건국대충주병원도 의사 정원은 118명이지만 54명만 근무하고 있다는 게 충북도의 설명이다.

이에 충북 지역 의대 정원 총 89명을 비수도권 광역시도 평균인 197명 수준으로 올릴 수 있도록 2배 증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존 충북의대와 건국의대 교수진과 시설을 활용하면 추가 비용이나 시간 투자 없이도 정원 확대가 가능하다고도 했다.

충북도는 “의대 신설과 부속병원 설치에는 수천억원의 비용과 수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되고 지역과 대학 간 과도한 경쟁을 유발한다”며 “의대 신설보다는 예산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정원 50명 이하 소규모 의대 정원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더불어 치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충청권에는 국립 치과대학이 없다며 정부에 국립치대 서립을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충북도는 충북대, 건국대와 함께 의대 정원 확대를 위한 공동 건의 등을 추진하며 비수도권 거점 국립대와도 소규모 의대 정원 증원을 위해 손잡을 계획이다. 또한 민관정 공동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국회 토론회도 추진한다.

전라남도도 의대 정원 확보를 위해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충북도와 달리 국립의대를 신설해 그곳에 증원하려는 정원을 배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남도의회 ‘전남 의대 유치 대책위원회’는 지난 18일 국호 보건복지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신동근 의원을 만나 “전국 광역지자체 중 유일하게 의대가 없다”며 전남 지역 국립의대 신설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정부가 확대하려는 의대 정원 안에 전남 지역 의대 신설 인원이 포함돼야 한다며 국회 차원에서 국립의대 신설 관련 법안 처리를 위해 노력해 달라고 했다.

전남도의회는 오는 27일 목포역과 순천역에서 추석을 맞아 고향을 찾는 귀성객들을 대상으로 전남 지역 의대 유치 홍보전도 진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