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 특정 직역 반대로 중단돼선 안돼"
한의계가 한의주치의 시범사업 추진에 반대하는 의료계를 향해 의료 독점주의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26일 보도자료를 통해 대한의사협회의 한의주치의 시범사업 반대는 “국민 진료선택권을 제한하고 대통령 공약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며 “기득권 보호를 위한 의료 독점주의에서 벗어나 진정한 의료개혁에 동참하라”고 했다.
한의협은 “한의주치의 제도가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노인 건강관리와 만성지로한 대응, 의료 취약지 돌봄 강화를 위한 대통령 공약이자 주요 국정과제로 국민 건강권 보장과 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공익적 정책”이라고 주장했다.
한의협은 “통합돌봄 체계에서 한의사 역할은 이미 검증됐으며 고령자와 만성질환자, 장애인 등 지속적 건강관리가 필요한 계층에서 한의학적 접근을 통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근거 중심 의료서비스를 위한 임상연구와 안전·유효성 입증도 지속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민을 위한 한의주치의 시범사업이 특정 직역 반대로 중단돼선 안 된다. 전국 3만명 한의사들이 공공의료 강화에 적극 기여하겠다”고 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에 담긴 한의주치의 시범사업 준비를 올해부터 시작해 2026년 안에는 시작하겠다는 방침이다. 한의주치의 시범사업을 통한 주요 환자진료 분야는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노쇠화 관리’이다.
김은영 기자
key@docdocdoc.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