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MA 타겟 치료 이력 다발골수종 환자에 우수한 치료 반응
'GPRC5D' 타깃 독특한 작용기전으로 병용 가능성 시사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얀센이 개발한 GPRC5D × CD3 타깃 이중특이항체 '탈베이(성분명 탈쿠에타맙)'가 재발·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들에게 중요한 최후방 치료 옵션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제시됐다.

BCMA 타겟 이중특이항체나 CAR-T 치료에 내성을 보인 환자들에서도 우수한 치료 반응을 보인 탈베이는, 기존의 다발골수종 치료법에 실패한 환자들에게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란셋 헤마톨로지(The Lancet Haematology)에는 탈베이의 1/2상 임상인 MonumenTAL-1 연구의 사후분석 결과가 게재됐다.

과거 탈베이는 1상 MonumenTAL-1 연구에서 주 1회 0.4 mg/kg와 2주마다 0.8 mg/kg 용량을 피하주사하는 요법으로 유망한 임상 활성을 보여준 바 있다.

연구진은 이전에 TCR(T-cell redirection therapy)을 받은 환자를 포함한 재발·불응성 환자에서 탈베이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보다 장기적인 추적관찰 기간을 바탕으로 환자들의 치료 반응을 사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이전에 TCR에 노출된 적이 없는 환자들 중 탈베이 주 1회 0.4 mg/kg와 격주 0.8 mg/kg으로 치료 받은 환자들의 객관적반응률(Overall Response Rate, ORR)은 각각 74%와 69%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탈베이는 이전 TCR을 받은 환자들에서도 67%라는 높은 반응률을 보였다.

그림. 이전에 TCR에 노출된 적이 없는 환자들 중 주 1회 0.4 mg/kg  및 격주 0.8 mg/kg 투여군, 그리고이전 TCR 치료 환자에서의 탈베이 반응률
그림. 이전에 TCR에 노출된 적이 없는 환자들 중 주 1회 0.4 mg/kg 및 격주 0.8 mg/kg 투여군, 그리고이전 TCR 치료 환자에서의 탈베이 반응률

특히, 이 연구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BCMA 타겟 치료에 내성을 보인 환자들에게도 효과적인 반응을 보였다는 것이다.

BCMA 타겟 치료에 내성을 보인 환자들은 기존의 다발골수종 치료법으로 치료가 어렵거나 실패하는 경우가 많아, 탈베이가 이 환자들에게도 효과적인 결과를 나타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연구진은 "탈쿠에타맙은 BCMA 타깃 치료에 노출된 환자에게 실행 가능한 옵션이 될 수 있다"며 "탈쿠에타맙 치료 후 BCMA 타깃 치료 결과를 평가하는 연구는 잠재적인 시퀀싱 전략을 추가로 알려줄 것"이라며 향후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구에서 나타난 탈베이의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RS)과 미각 변화(dysgeusia)가 있었다. CRS는 주로 치료 초기에 나타나지만, 단계별 용량 조정(step-up dosing)을 통해 관리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CRS는 저위험 수준에서 관리 가능했고, 고위험 감염이나 중증 감염의 발생은 드물었다.

또한 탈베이는 호중구 감소증, 빈혈 등 혈액학적 독성을 일으킬 수 있지만, 대부분의 부작용은 치료 초기 몇 사이클 내에 나타나며 치료 중단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었다.

연구진은 "탈쿠에타맙은 새로운 미충족 수요인 TCR 치료 이력이 있는 환자에서 유망한 활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TCR 치료의 대부분은 BCMA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였다"며 "고등급의 호중구 감소증과 고등급 및 치명적인 감염의 비율은 BCMA 표적 이중특이항체와 비교해 장기간 추적 관찰 시에도 낮게 유지됐으며, 표적 외 종양 이상반응이 빈번하게 발생했지만 이러한 이상반응으로 인한 치료 중단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탈베이가 기존 BCMA 기반 치료에 실패한 환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치료 반응을 보여줌으로써 재발·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들에게 더 많은 치료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탈쿠에타맙은 피하 투여가 가능한 기성 치료 옵션으로서 현재의 다발골수종 치료 레퍼토리를 확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B세포와 정상 혈장세포에서 GPRC5D의 발현은 제한적이다. BCMA 표적 치료제에 비해 고등급 감염 발생률이 낮다는 탈쿠에타맙의 독특한 작용 기전은 다른 다발골수종 치료제와 병용하는 데 유리한 근거가 된다"며 "현재 진행 중인 연구에서는 다발골수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탈쿠에타맙 병용요법이 평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