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영유아 물론 임산부‧영유아 돌보미 등 예방접종 당부
백일해 사망자가 발생해 질병관리청이 예방접종을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생우 2개월 미만에서 백일해 첫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12일 밝혔다. 질병청은 감염 시 중증으로 발전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인 1세 미만 영아 보호를 위해 임신부, 동거 가족 및 돌보미 대상 백일해 백신 접종을 당부했다.
이번에 발생한 백일해 사망 사례는 생후 2개월 미만 영아로 백일해 1차 예방접종 이전이었다. 기침, 가래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 내원 후 지난 10월 31일 백일해 양성이 확인됐고, 입원치료를 받아오다가 증상 악화로 지난 4일 사망했다.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백일해는 올해 11월 1주 기준 총 3만332명의 환자가 신고되는 등 7~19세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연령별로는 13~19세가 1만3,866명 45.7%, 7~12세가 1만2,725명 42.0%으로, 7~19세 소아‧청소년이 전체 환자의 87.7%를 차지했다. 0~6세의 경우 1,008명(전체환자 중 3.3%)으로 8월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1세 미만 영아도 10월 초에는 주당 2~4명의 신고를 보이다가, 10월 말 12명까지 신고됐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적으로도 백일해가 유행하면서 사망자도 함께 보고되고 있다. 영국의 경우 올해 9월까지 누적 1만3,952명 발생했으며, 5월까지 증가세를 보이다 6월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영국에선 현재까지 영아 1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프랑스에서는 올해 13만명 이상 발생했고 35명의 사망자 중 소아 22명, 성인 13명이 보고됐다. 미국은 올해 2만2,273명이 발생해 전년도 동 기간 4,840명 대비 4.6배 증가했다.
질병청은 백일해가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행함에 따라 감염 시 중증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생후 첫 접종 이전 영아가 백일해에 대한 면역을 갖고 태어날 수 있도록 임신 3기(27~36주) 임신부 예방접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했다.
또 생후 12개월 미만 영아는 빠짐없이 2·4·6개월 적기 예방접종할 것을 강력하게 권하는 동시에 영유아의 부모 등 돌보미, 의료종사자 및 산후조리원 근무자 등 성인들도 백일해 유행 상황을 고려해 백신 접종할 것을 당부했다.
질병청 지영미 청장은 “우리나라에서 백일해 첫 사망자가 발생한 만큼 고위험군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정부에서는 최근 증가 추세인 0~6세 백일해 발생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동절기 호흡기 감염병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전문가 합동으로 호흡기 감염병 관계부처 합동 대책반을 운영해 대응하고 의료현장에서 필요한 사항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