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암 치료제, 첫 심사 급여 탁락률 85%
최근 3년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중증(암)질환심의위원회에서 검토한 혈액암 치료제 13개의 첫 심사 시 급여 탈락률이 8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암 치료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은 심평원의 ‘극내 혈액암 치료제 급여 환경 조사’ 자료를 분석해 8일 이같이 밝혔다.
혈액암 치료를 위해 항암 후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는 환자의 주요한 사망 원인 중 하나는 이식편대숙주병이다. 이는 혈액암 환자가 조혈모세포를 이식받은 후 수혈된 림프구가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신체를 공격해 전신 염증 반응, 장기 손상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국내 이식편대숙주병 진료환자는 2023년 기준 633명으로, 이중 현행 치료로는 방법이 없어 새로운 치료제 사용이 필요한 환자는 약 35%에 이른다. 이경우 중증의 환자와 의료진들은 국내에 공급되지 않는 약제를 구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한국희귀의약품센터를 통해 수입을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 의원 분석 결과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3년간 암질심 상정 혈액암 치료제는 총 13개로, 이 중 최초 심의에서 급여기준이 설정된 사례는 단 2건에 불과했다. 심의한 13개 약 중 85%인 11개 약이 초회 탈락한 것이다.
또한 최초 심의에서 급여기준이 미설정된 11개 품목 중 6개는 현재까지도 비급여 상태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의원은 “정부의 혈액암 치료에 대한 인식과 환자들을 위한 지원 환경은 세계 최고 수준의 암병원을 3군데나 보유한 ‘K의료’의 명성과 어울리지 않는다”며 “약가 참조국 다수가 급여로 지원 중인 약제를 국내에서만 장기간 비급여로 방치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렇다면 참조국으로부터는 대체 무엇을 참조하고자 하는 것인지 정부에 묻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행 제도상 암에도 희귀질환에도 해당하지 않아 신약 접근성이 저해되는 이식편대숙주병 환자들은 물론 다른 암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책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혈액암 환자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혈액암 치료 환경 전반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