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정총 열고 의대 정원 확대 대응 방안 논의
우성진 위원장 "부작용 우려에도 확대 강행 시 행동 논의"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이 지난 25일 서울 모처에서 임시총회를 열고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청년의사).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이 지난 11일 정기대의원총회를 열고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청년의사).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지난 10일 정기대의원총회를 열고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대응 방안 모색에 나섰다.

의대협은 의대 정원이 확대될 경우 의대 교육에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 우려되는 만큼 정부가 이를 강행할 경우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협은 이날 오후 6시부터 8시 30분까지 온라인으로 정총을 개최했다. 이날 정총에서는 지난해 11월 열린 전체학생대표총회 임시총회 때보다 대응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의대협 우성진 비대위원장은 10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어떻게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논의했다”며 “학생들이 의대 교육에 어떤 불만을 품고 있으며 의대 정원 확대 시 생길 부작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파악한 후 불만이 상당한 경우 어떤 행동을 할 수 있을지 논의했다”고 전했다.

우 위원장은 “각 학교 대표가 모여 있는 자리였던 만큼 임총 때보다 더 현실적인 토의가 진행됐다”면서도 자세한 내용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다만 정부가 발표하는 증원 규모에 따라 대응 수위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라고 했다.

우 위원장은 “정원 규모에 따라 우리의 행동이 달라지는 것은 아니다. 몇 명이면 되고 안 된다는 식으로 흥정을 하려는 게 아니다"라며 "정원 확대가 의대 교육의 질을 낮출 것으로 보이는데 그럼에도 학생들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강행한다면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을 지에 대해 논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의대가 인기가 많고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많음에도 교육의 질이 좋지 않다는 것에 공감하는 의대생들이 많다. 이를 공론화하고 정부에 개선을 요구하고자 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향후 정해진 회의 일정은 없다면서도 “지난 임총 때 긴급한 사안이 생길 때마다 긴급 회의를 열고 가능한 한 전부 참여하기로 했다. 앞으로 임총 혹은 긴급회의가 열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