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5000만명 데이터 분석해 확인

코로나19 환자는 안면마비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더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코로나19 환자는 안면마비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더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코로나19 환자는 안면마비 위험이 최고 84%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나왔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와 김혜준 연구원, 차의과대학 정보과학교실 정석송 교수 공동 연구팀은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감염이 안면마비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1일 밝혔다.

코로나19와 안면마비 관련성은 이전부터 제시됐다. 코로나19 감염 후 신경학적 후유증이 최대 12개월까지 이어질 수 있고 백신 후유증으로 안면마비가 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공개됐다.

그러나 대부분 백신 접종 후유증에 초점을 맞추고 추적 관찰 시기도 짧아 코로나19 감염 자체가 안면마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청에 등록된 국민 4,815만8,464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안면마비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코로나19 감염 여부에 따라 감염군(1,159만3,365명)과 미감염군(3,656만5,099명)으로 나눠 4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백신 접종과 코로나19 감염 여부에 따른 안면마비 위험 그래프(왼쪽)와 코로나19 중증도에 따른 안면마비 위험을 나타낸 그래프(자료 제공: 서울대병원).
백신 접종과 코로나19 감염 여부에 따른 안면마비 위험 그래프(왼쪽)와 코로나19 중증도에 따른 안면마비 위험을 나타낸 그래프(자료 제공: 서울대병원).

분석 결과, 코로나19 감염군은 안면마비 발생 위험이 미감염군보다 24%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백신 접종을 하지 않거나 1차 접종만 했다가 코로나19에 걸리면 안면마비 위험이 미감염군보다 84% 높았다. 반면 2차 접종까지 마쳤다면 코로나19에 걸려도 안면마비 위험이 미감염군 대비 20% 더 높은 수준에 머물렀다.

안면마비 위험은 코로나19 중증도 영향도 받았다. 2차까지 백신 접종을 마쳤는지에 관계 없이 중증 환자는 미감염자보다 안면마비 위험이 2배 더 컸다.

안면마비 병력이 있으면서 백신 접종을 안 하거나 1차 접종만 한 사람은 코로나19에 걸리면 안면마비 재발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처럼 백신 미접종자나 1차만 접종한 사람은 코로나19 감염 시 안면마비 증상을 더 주의해야 한다"며 "코로나19와 안면마비 사이 연관성을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한 기전을 밝히려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감염병 분야 국제 학술지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