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대 연구팀, 간호사 대상 암 통증 관련 설문
암 통증 관리 교육 경험 30%…지식 수준은 높아
"암 환자 급증…일반 병동 간호사도 통증 관리 교육 필요"

상급종합병원에서 암 통증 관리 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70%가 암 통증 관리와 관련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상급종합병원에서 암 통증 관리 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70%가 암 통증 관리와 관련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상급종합병원에서 암 통증 관리 경험이 있는 간호사의 70%가 암 통증 관리와 관련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상국립대 간호대학 연구팀은 암 통증 관리 경험이 있는 간호사 155명을 대상으로 암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등을 조사한 결과를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에 최근 발표했다.

연구팀은 암 통증 관리 경험이 있는 임상 경력이 1년 이상인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암 통증에 대한 지식 ▲암 통증 관리에 대한 태도 ▲암 통증 관리에 있어서 느끼는 어려움 ▲암 통증 관리 성과 등을 물었다.

설문에 참여한 간호사 중 37.4%(58명)는 내과 병동, 32.9%(51명)은 외과 병동, 29.7%(46명)은 암 병동에서 근무했다. 또한 참가자의 평균 임상 경력은 5~10년이 34.2%(53명)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1~3년 26.5%(41명), 3~5년 25.2%(39명), 10년 이상 14.2%(22명) 순이었다.

간호사들의 암 통증 관리 지식, 태도, 장벽, 성과에 대한 수준
간호사들의 암 통증 관리 지식, 태도, 장벽, 성과에 대한 수준

연구 결과, 참가자 중 71.0%인 110명이 암 통증 관리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자들의 암 통증 관리와 관련된 지식의 평균 점수는 30점 만점에 20.19점으로 67.0%의 정답률을 보였으며, 태도 관련 점수는 5점 만점에 3.21점이었다.

암 통증을 관리하는 데 있어 간호사들이 느끼는 어려움에 대한 평균 점수는 4점 만점에 2.54점이었다. 어려움의 하위 영역으로는 간호사 관련 요인이 2.39점, 의사 관련 요인 2.56점, 환자 관련 요인 2.71점, 의료 시스템 관련 요인 2.59점이었다. 암 통증 관리 성과의 평균 점수는 4점 만점에 3.05점이었다.

암 통증 관리 지식과 관련해서 유의한 요인을 분석한 결과, 종양 병동에서 일하는 간호사가 외과 병동 간호사보다 암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이 더 높았다. 또한 교육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간호사보다 암 통증 관리 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최근 암 환자가 급증하며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암 환자가 일반 병동에도 입원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며 “간호사에게 정확한 암 통증 관리 지식이 있다면 적극적인 개입도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병원 내 모든 간호사에 관련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암 통증 관리에 대한 어려움은 종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환자는 통증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 의사의 기분을 상하게 할 것이라고 생각해 솔직하게 말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진통제를 투여하기 전에 환자의 거부감을 줄이고 적절히 자신의 고통을 표현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간호사들은 관련 어려움 중 하나로 의사가 진통제 처방을 내리지 않는다는 점을 꼽았다. 진통제를 처방하는 것은 의사의 고유한 역할이며 암 통증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며 “간호사와 의사 간 긴밀히 소통해야 암 환자의 통증을 관리하고 궁극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