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최혜영 의원 ‘119 구급대 재이송 현황’ 분석
최근 5년 동안 발생한 119 구급대 재이송 현황 분석 결과 10건 중 3건은 전문의 부재가 이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은 소방청의 ‘2018년부터 2022년까지 119 구급대 재이송 현황’자료를 분석해 1일 공개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해당 기간 119 구급대의 1차 재이송 건수는 3만1,673건, 2차 재이송 건수는 5,545건으로 총 3만7,218건이었다.
연도별 재이송 현황을 살펴보면 2018년 5,086건에서 2019년 1만253건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재이송 건수는 2020년 7,542건, 2021년 7,634건, 2022년 6,703건 등이었다.
사유별 재이송 현황을 살펴보면 전문의 부재가 1만1,684건(31.4%)으로 가장 많았으며, 병상 부족이 5,730건(15.4%)으로 그 뒤를 이었다.
시도별 재이송 현황을 살펴보면 경기 지역이 총 9,856건으로 전체 재이송 건수 중 26.5%를 차지하며 타 시도보다 월등히 높았다.했다. 이어 서울이 5,685건으로 15.3%, 부산이 2,632건으로 7.1%, 충남이 2,414건으로 6.5%를 각각 기록했다.
가장 최근인 2022년 사유별 119 구급대 재이송 현황 역시 전문의 부재가 2,253건(33.6%)으로 가장 많았고, 병상 부족이 1,303건(19.4%)으로 뒤를 이었다. 같은 해 시도별 119 구급대 재이송 현황을 살펴보면 경기 남부지역 재이송 건이 총 1,331건(19.9%)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서울 549건(8.2%), 충남 478건(7.1%), 경기 북부 455건(6.8%), 전북 449건(6.7%) 순이었다.
최 의원은 “최근 대구 10대 추락사고 환자에 이어 경기 용인 70대 교통사고 환자까지 잇따른 사건으로 온 국민이 대한민국 응급의료체계를 우려하고 있다”며 “보건복지부는 지난 3월 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권역 응급의료센터 등 인프라 구축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미 운영되고 있는 응급실도 의료진이 없어 치료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시설만 늘리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선 의료인력 확보부터 시급하게 추진해야 한다. 또한 소방청, 복지부 등 응급의료체계 관계부처가 함께 응급의료체계 전반을 검토하고 어느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 파악해 조속히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