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의대 연구팀, 코로나19 팬데믹과 뇌염 발병률 변화 연구
코로나19 팬데믹 이전보다 뇌염 사망·중환자 입원 감소 뚜렷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9세 이하 소아에서 뇌염 발병이 7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브란스병원 소아감염면역과 안종균·백지연 교수와 소아신경과 강훈철·김세희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정인경·한민경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우리나라 뇌염 발병률이 감소했으며 특히 9세 이하 소아에서 크게 줄었다고 2일 밝혔다.
뇌염은 뇌실질의 염증성 질환으로 원인에 따라 감염성, 혈관염성, 종양성, 화학성 뇌염 등으로 구분한다. 그 중 발병 빈도가 가장 높은 뇌염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성 뇌염이다.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사회적 거리두기 등 생활 방역으로 호흡기 바이러스나 독감과 같은 질환들의 발병률이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는 발표됐지만 뇌염 발병률 변화는 밝혀진 바 없다.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중 ICD-10 진단체계에 따라 뇌염 관련 진단명으로 청구된 입원 환자 총 4만3,65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팬데믹 이전인 지난 2010년 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대상자 4만187명과 팬데믹 기간인 2020년 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대상자 3,468명으로 나눠 각각 회귀분석을 통해 뇌염 발병률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팬데믹 이전 증가 추세를 보이던 뇌염 발병률은 팬데믹 기간 감소했다. 특히 0~9세 연령에서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직후 뇌염 발병률이 크게 감소했다.
뇌염 발병률비(Incidence rate ratio)는 0~4세와 5~9세 소아에서 각각 0.34와 0.28로 팬데믹 기간에 뇌염 발병이 약 7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구팀이 뇌염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중환자실 입원률과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 팬데믹 이전 11%였던 사망률은 팬데믹 기간 중 9%로, 중환자실 입원율은 59%에서 39%로 감소했다.
안 교수는 “국가 단위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바이러스성 뇌염이나 소아 등 특정 원인이나 집단에 국한하지 않고 우리나라 뇌염 환자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한 첫 번째 연구”라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우리나라 뇌염 발생률이 감소했으며 특히 9세 이하 소아에서 그 감소가 뚜렷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의학 바이러스학 저널(Journal of Medical Vir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