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연구정책센터, 복지부·식약처·산업부 등 협업 주문
미세수술 로봇 산업이 빠르게 발달함에 따라 관련 시장 육성을 위한 관계부처의 협력이 필요하단 주장이 나왔다.

융합연구정책센터는 최근 융합연구리뷰 보고서를 통해 “의료용 마이크로로봇은 전 세계적으로 태동기의 기술분야로 아직까지 절대적 강자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진은 “미세수술 기술은 일반 외과, 안과, 정형외과,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신경외과, 소아 외과 수술 등과 같은 여러 분야의 전문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며 “정교한 작업이 필요한 신경 및 혈관을 다루기 때문에 로봇 기술의 적용으로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큰 분야”라고 강조했다.
때문에 해외에선 이러한 발전 가능성을 발판으로 대기업의 참여와 지속적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에선 아직까지 중소기업이 주축이 돼 기술발전이 이뤄지고 있어 발전 속도가 더디다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연구진은 “벤처 기업 위주였던 수술로봇 시장에 메드트로닉, 존슨앤드존슨과 같은 대형 의료기기사들이 진출하고 있고 구글과 같은 초대형 기업들의 합류로 국내 수술로봇 시장 확보는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다”고 봤다.
특히 국내 수술로봇은 벤처와 중소기업이 중심이기 때문에 수술로봇 상용화까지의 장시간 개발시간과 투자비용을 감수하기 어렵다고도 했다.
연구진은 “브랜드와 신뢰도가 쌓이지 않은 새로운 수술로봇 시스템은 보수적인 성향을 가진 의료시장을 공략하는 데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며 “현재 상용화돼 있는 수술로봇 시스템이 타깃하는 임상 분야에 비해 시장 규모가 작아 단기간 매출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국내 기술력 향상과 사업화의 성공적 모델을 만들기 위해선 관련 부처의 협업이 필수적이라고 연구진은 주장했다.
연구진은 “시장 선점을 위해선 수술로봇의 기술개발 뿐 아니라 인증과 건강보험적용, 표준화 등 포괄적인 영역에 이르기까지 많은 이해관계자간 협력체제 구축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선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의 유관기관간의 협력체제 구축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제도 도입을 통해 상용화, 임상시험 등의 부담을 경감시켜 기업의 참여를 유도, 시장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면서 “제도적 지원을 통해 수술로봇 시스템의 개발 기간과 인허가 기간을 단축시켜 기업의 투자에 대한 위험성도 경감시켜야 한다”고 했다.
연구진은 또 “수술로봇 개발 여러 단계에 대한 국가의 제도적 지원 계획을 수립해 수술로봇 시스템의 개발이 완료되기 이전에 제도적 준비가 갖춰져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