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폐지 우려·검찰 압수수색·삼성그룹 봐주기 등 논란 이어져
올 한해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이 전 산업계는 물론, 정치 사회 분야에까지 강타했다.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는 지난 11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상장을 앞두고 미국 바이오젠과 합작해 설립한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종속회사에서 관계사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고의적으로 분식회계를 한 것으로 결론내렸다.

2년여 간 지속돼 온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의혹에 대해 '고의적'이라고 판단한 것이다.
증선위 결정 후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주식 거래가 중단됐지만, 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원회(기심위)가 상장 유지를 결정하면서 기사회생했다.
하지만 서울중앙지검이 이달 중순 분식회계 사건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벌이는 등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논란은 아직 진행형이다.
한편, 같은 기간 회계처리 논란으로 상장적격성 심사대상이었던 경남제약이 상장폐지되면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형평성 논란도 일었다.
경남제약은 증권선물위원회 감리에서 매출 채권 허위 계상 등 회계처리 위반 사항이 적발돼 과징금 4000만원, 감사인 지정 3년, 검찰 고발 등 제재를 받은바 있다. 경남제약 주식은 3월부터 거래가 정지됐다.
이에 경남제약 소액주주 등 투자자들은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통해 상장폐지를 반대하는 청원을 계속하고 있다.
한 청원인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분식회계 자체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경남제약은 거래소의 주요 요구사항을 해결해가려고 노력했다"면서 "(거래소의 요구사항 이행에) 부족한 부분은 있을 수 있지만, 상장폐지를 시킬 정도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